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남녘
남녁
리바이스
남향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방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SF소설 아냐?"…'철·나트륨·수소' 3중 대기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외계행성의 대기가 이토록 세밀하게 관측된 사례는 처음이다. 줄리아 세이델 유럽
남방
천문대(ESO)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의 초거대망원경(VLT)으로 타이로스의 3차원 대기 구조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밝혔다. 타이로스는 목성의 약 2배 ... ...
'고온 초전도체' 상압에서 구현…초전도 통합이론 알아낼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초전도 현상을 설명할 통합 이론 발견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주오유 첸 중국
남방
과학기술대 물리학부 교수팀은 상압 조건의 니켈산염(nickelate) 박막에서 고온 초전도 특성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어떤 물질에 전류가 흐를 때 이를 방해하는 ... ...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세계 최고 우주망원경 일부 '실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스페이스닷컴은 18일(현지시간)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거대 망원경(VLT)이 설치된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의 산 '파라날' 인근에 미국 에너지 회사인 'AES 코퍼레이션'이 대규모 재생 수소 제조 단지 건설을 추진한다면서 천문학자들이 수소 제조 ... ...
100년 살 고래가 22년밖에 못사는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대서양긴수염고래의 수명이 실제로는
남방
긴수염고래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adv.adq308 ... ...
16만 광년 떨어진 별 정밀 촬영…'별 죽음' 관측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4.11.22
관측할 기회로 기대를 모았다. 케이이치 오나카 칠레 안드레스벨로대 교수팀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대형 망원경 간섭계(VLTI)를 이용해 지구로부터 약 16만 광년(빛의 속도로 1년 이동한 거리) 떨어진 별 'WOH G64'를 촬영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진 암석,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9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카엘 마르셋 칠레 산티아고 유럽
남방
천문대(ESO) 연구원과 미로슬라브 브로즈 체코 프라하 카를대 교수 연구팀은 지구에 떨어진 운석의 발생 시기와 원인을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각각 발표했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운석의 약 80 ... ...
물고기에게 잡아먹혀도 아가미로 탈출하는 뱀장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물고기의 내부를 관찰하는 실험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뱀장어의 포식자 물고기인
남방
동사리(Dark sleeper, 학명 Odontobutis obscura)의 몸속을 잘 관찰하기 위해 조영제를 주사하고 뱀장어와 함께 수조에 넣은 뒤 뱀장어가 잡아먹히고 탈출을 시도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했다. 물고기 뱃속에 들어간 ... ...
바다온도 딱 '1℃' 올라가자 서해는 '야광충' 명소 됐다
과학동아
l
2024.08.03
적조의 빈도는 59.2% 잦아졌고 넓이는 13.2% 확대됐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중국
남방
과학기술대와 미국 플로리다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논문에서 "녹조와 적조의 증가세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 상승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doi: 10.1038/s41586-023-05760-y) 2023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별명으로 진짜 학명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로 아파르 지역에서 발견된
남방
유인원이라는 뜻이다. 최초의 인류라는 지위는 20년 정도만 유효했다. 루시 이후 440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580~520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700~600만 년 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 등 ... ...
가장 작은 '별 지진' 관측…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밝기가 너무 높으면 이를 알아내기 어렵다. 연구팀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대형 망원경(VLT)에 장착된 'ESPRESSO' 분광기를 사용해 인디언자리에 있는 별 '엡실론 인디'를 관찰했다. ESPRESSO는 별의 미세한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는 장비다. 연구팀은 엡실론 인디에서 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