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남녘
남녁
리바이스
남향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방
"(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별명으로 진짜 학명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로 아파르 지역에서 발견된
남방
유인원이라는 뜻이다. 최초의 인류라는 지위는 20년 정도만 유효했다. 루시 이후 440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580~520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700~600만 년 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 등 ... ...
가장 작은 '별 지진' 관측…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밝기가 너무 높으면 이를 알아내기 어렵다. 연구팀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대형 망원경(VLT)에 장착된 'ESPRESSO' 분광기를 사용해 인디언자리에 있는 별 '엡실론 인디'를 관찰했다. ESPRESSO는 별의 미세한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는 장비다. 연구팀은 엡실론 인디에서 별 ... ...
"매일 태양 1개만큼 물질 빨아들이는 초거대 퀘이사 포착"
연합뉴스
l
2024.02.20
우리은하 내의 별로 잘못 분류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칠레에 있는 유럽
남방
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을 사용해 광학 및 근적외선 파장에서 J0529-4351을 추가로 관측하고 블랙홀 원반(black hole disk) 모델을 사용해 퀘이사의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퀘이사 중심부의 블랙홀은 ... ...
인공위성 '빛 공해'에 자구책 마련 나선 천문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하늘을 훑기 때문에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을 미리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2020년 4월 광대역 탐사 망원경이 촬영한 이미지 중 절반이 인공위성의 영향으로 부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천문학계, 위성 경로 파악하는 알고리즘 개발 등 ... ...
500광년 밖에서 암석형 행성 형성 고리 3개 가진 젊은 별 발견
연합뉴스
l
2024.01.09
동심원 고리 형태로 뭉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유럽
남방
천문대(ESO) 초대형 망원경(VLT)의 조감도. VLT 간섭계(VLTI)는 망원경 4대의 빛을 결합해 멀리 떨어진 천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G.Hüdepohl(atacamaphoto.com)/ESO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동연구자인 ... ...
천왕성·해왕성 실제 색깔 찾았다…"모두 옅은 청록색"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널리 퍼졌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의 우주망원경 이미지 분광기(STIS)와 유럽
남방
천문대의 다중 단위 분광 탐색기(MUSE)가 제공한 데이터를 활용해 두 행성의 정확한 픽셀값을 얻었다. 이를 통해 천왕성과 해왕성이 실제로는 비슷한 청록색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왕성이 천왕성보다 조금 ... ...
달 러시에 유성우까지…올해 주목되는 우주 이벤트
동아사이언스
l
2024.01.02
4월 21~22일에는 리리드 유성우가 절정에 이르고, 5월 5~6일에는 에타 아쿠아리드 유성우가
남방
열대 지방에서 잘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7월 5일은 지구가 태양의 가장 먼 지점을 돌게 되며, 같은 달 30~31일은 남델타 물병자리와 알파 염소자리의 유성우가 절정에 이른다. 8월 11~12일에는 다채로운 ... ...
제주 해안따라 '
남방
큰돌고래' 찾는 과학자…"그냥 해보고 싶어서"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아니다. 자동차를 타고 제주 곳곳을 돌아다니며
남방
큰돌고래 무리를 찾아다닌다.
남방
큰돌고래를 발견하면 그 자리에 앉아 망원경으로 돌고래들의 행동을 관찰한다. 돌고래에 대한 관심은 우연히 시작됐다. 2013년, 귀뚜라미, 거미 등 절지동물을 연구하는 석사생이었던 장 대표는 이 분야를 좀 ... ...
빙하 녹으면 새 식물종 생겨...생태계 급변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혼란이 일 수 있다. 실제 최근 남극에선 비교적 따뜻한 기온의 지역에서 서식하는
남방
큰재갈매기가 빙하가 후퇴함에 따라 점차 서식지를 확대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서식지가 축소되는 동물과 서식지를 확대하는 동물의 충돌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는 예측 불허”라고 우려했다. ... ...
5천광년 밖 목성급 행성 탄생현장 포착…"먼지 덩어리 형성 중"
연합뉴스
l
2023.07.26
있는 먼지 덩어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고 말했다. 유럽
남방
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의 관측 장비인 분광-편광 특수카메라(SPHERE)에 포착된 노란색 영역(왼쪽)은 별 주위를 도는 먼지가 태양계 전체보다 더 먼 거리까지 나선형 팔 형태로 뻗어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