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전
격투
몸싸움
싸움
뉴스
"
열전
"(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토막 과학상식]열을 전기로 바꾸는 '하프호이즐러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기존 대비 복잡한 나노구조를 갖고 있다”며 “3배 이상의
열전
도도 감소 와 함께
열전
발전 성능도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에 실렸다 ... ...
열 나는 곳 붙이면 전기 생산하는 스펀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연구팀은 자동차에서 나오는 폐열이나 온천수를 이용하기 위해 개발한 스펀지형
열전
소재 발전기 시제품을 실험하고 있다. 연구 1저자인 김정원 화학연 연구원은 “스펀지의 압축되고 복원되는 탄성을 활용해 몸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원자력 전지로 바뀌었다. MMRTG는 방사성 동위원소인 플루토늄-238이 내놓는 열에너지를
열전
소자가 전기로 바꾸는 방식이어서 효율이 최대 6% 수준이다. 15~20%인 태양전지 효율에는 못 미치지만 수명이 길고 모래폭풍 등 극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어 장기 화성 탐사에 적합하다. 퍼시비어런스에는 ... ...
KCC·포스텍, 공장 폐열 활용해 전기 생산하는'
열전
발전' 첫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가동중인 생산라인을 실험 환경으로 지원해 실증에 성공했다. KCC 관계자는 “이번
열전
발전 실증은 실제 산업현장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헤 에너지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실험”이라며 “KCC와 포스텍 연구진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뤄낸 성과”라고 말했다. 연구원이 발전설비의 ... ...
최상혁 NASA 수석연구원,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 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그는 화성 탐사선과 명왕성 탐사선에 들어가는 원자력 전지에서 열을 전기로 바꾸는 ‘
열전
소자’ 성능을 100배 높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수석연구원은 인하대에서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고등학교 물리 교사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을 거쳐 미국 ... ...
우주탐사선·위성체 핵심 에너지 부품 기술 국산화 성공
연합뉴스
l
2020.04.24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라며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한국형 우주 산업용
열전
소자를 개발해 우주산업 선진국을 따라잡겠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2월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CS Applied Energy Materials)에 실렸다. ...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생산하는 기능이 있는 소재다. 김 교수는 나노그레인으로 코팅하는 방법을 고안해
열전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김 교수는 나노과학 분야 개척자로 320여편의 SCI급 국제학술 논문과 13편의 특허 등 우수한 연구업적으로 기초과학 분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과학기술포장을 받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열광발전 시스템이 기존 반도체 소재와 기술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폐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기와 결합한 시스템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미국의 과학자들은 250~400℃ 폐열에서 나오는 적외선으로 전기를 만드는 새로운 열광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하고 반도체 경쟁력 확보하고… 운영 2만 시간 돌파한 경주 양성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제거하는 기술을, 조지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은 양성자 조사를 통한
열전
소재의
열전
성질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탁희 서울대 교수는 양성자 빔을 이용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전도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 ... ...
이물질 검출 홈센서-유연배터리 등…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서 두각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교수 팀이 개발한
열전
소자를 만드는 기술을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2014년 설립됐다.
열전
소자란 열을 전기로 바꾸거나 전기를 열로 바꾸는 부품이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지난달 7일 미리 발표한 내년도 CES 혁신상에서 VR 및 AR, 웨어러블 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