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전"(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 CES도 인정한 KAIST창업기업, 2020 혁신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19.12.11
- 온도를 느낄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VR 및 AR, 웨어러블 기술 부문에서 수상했다. 유연열전소자 기술로 온도를 전달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개발해 게임 내용과 같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태그웨이는 “온도실감 장치를 게임 외에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했다”며 “장시간 사용해도 습기가 차지 않는 ... ...
- 美, 우주개발 패러다임 바꾸는 차세대 원자력 추진기술 개발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9.14
- 최근 연구 결과를 의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핵 열추진 기술은 ‘방사성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 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 기술과는 다르다. RTG 기술은 플루토늄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생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우주선 장비나 기타 관측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NASA는 수십년 ... ...
- 韓英, 우주탐사용 원자력전지 공동 개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9.02
- 기술검토를 해왔다. 상대기관의 기술수준을 분석해 상호 협력대상으로 인식해 왔다. 열전소자 설계 및 제조기술, 우주선 발사진동에 의한 내진설계 기술은 원자력연구원이 앞서고, 레스터대학은 시험시설이 우수하다. 플라즈마 풍동시험 기술 원자력연구원이 앞서고, 내충격시험 관련 기술은 ... ...
- 스펀지 구조 나노소재로 열을 전기로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19.08.20
- 굽혔다 펴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했다. 조 책임연구원은 “무겁고 딱딱한 무기재료 기반 열전소재의 한계를 극복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차량의 남는 열이나 온천수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험 발전을 진행 중이다. ... ...
- AI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국산화 앞당긴다동아사이언스 l2019.08.09
- 연구원팀은 AI에게 재료연구 논문 초록 330만개를 학습시킨 뒤 새로운 열전소재를 찾아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AI로 찾아낸 재료를 AI가 스스로 실험실에서 합성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실험 설계와 진행을 모두 AI가 하는 셈이다. 티모시 자미슨 미국 ...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열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 재료’ 효율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19.07.1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성근·김진상 전자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열전 소재의 성능을 기존보다 50%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KIST 제공 반도체 나 ... 국제학술지 ‘ACS 나노’ 6월 25일자에 발표됐다. 산화아연층 및 열전재료로 제작된 열전 소자의 모습이다. KIST 제공 ...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4
- 수도 있다 생각해 솔직히 알고리즘이 미래를 예측해 낼 줄 몰랐다”며 “예측뿐 아니라 열전소재 분야에서 최근 유행하는 결정 구조인 ‘반 호이슬러 구조’ 물질을 다수 찾아내는 등 예측의 질도 놀라웠다”고 말했다 ... ...
- 재료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UNIST에 주목동아사이언스 l2019.05.17
- 소재, 수소 저장 및 생산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유기태양전지 소재, 열전소자 연구들을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게재했다. 해당 학술지에 게재됐던 총 122편의 UNIST 논문 중 가장 높은 피인용수를 기록한 14개 연구논문이 소개됐다. 또 UNIST 연구를 표현하는 총 4장의 그림이 삽입됐다. ... ...
- "과학포기자 만들지 않아요" 함께 읽고 춤추고 실험하는 과학교사들 2019.05.15
- 차가운 물과 따뜻한 물을 서로 섞이지 않게 하는 실험을 설계하는 것이었다”며 “열전도와 대류 현상을 이용해 실험을 설계해야 했는데, 초등학교 과정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라 당황했다”고 회상했다. 임 양이 실험을 제대로 설계하지 못해 헤매고 있을 때 김 교사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2019.04.02
- 떨어지는 금속이 주변의 열을 흡수하므로). n형과 p형 반도체를 써서 장치를 만들면 열전효과가 더 커진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용화의 길이 열렸고 오늘날 몇몇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냉매 시스템에 비해 비싸고 효율이 낮아 널리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고체 냉각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