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받은 정상 UBE3A를 발현시켜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15년에 미국 연구팀이 이런 기술을 사용해 엔젤만 증후군 증상을 나타내는 쥐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했고요(doi:10.1038/nature13975). 인간에게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우리 희망을 걸어볼까요 ...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빙하를 뚫어 얼음 속에 담긴 미소운석을 연구하기도 했지만 그 방식으로는 불과 수백만 년 이전의 상황만을 연구할 수 있었다”며 “지층을 연구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더 오래전의 운석을 연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소행성 띠에 대한 정보를 쌓으면 소행성 띠가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그래서일까요. 일본 시민들의 연구소 사랑은 좀 놀라웠습니다. 몇년 전에 ISAS를 이전한다는 얘기가 나왔는데, 시민들이 조용히 시위를 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시민들이 연구소를 소중하게 여긴다는 거겠죠? 조금 부럽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맛집 이야기를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니라 유미도 볼 수 있어야 했다.계획대로 유미가 지구에 돌아오려면 지구 시간으로 80년이 더 남아 있었다. 정훈은 늦은 업로드를 신청했다. 정훈에게는 늦은 업로드지만, 우주 어딘가에 있는 유미에게는 그렇게 늦은 업로드가 아니었다. 이제 나이가 다 들어서,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몸이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제어하고,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소자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2008년까지 나노 단위에서 멤리스터를 구현하는 연구를 했던 김태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멤리스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원인에서 유발되는 자기저항현상(자기장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현상)인지,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유신호정, 강홍윤, 정원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원순환기술지원센터 연구팀이 2013년에 발표한 ‘도시광산 산업의 기술개발 중요성 및 향후 방향’에 따르면, 국내에서 추출한 금속 상당수는 해외(특히 일본)로 유출된다. 폐기물을 수집·운반하고 처리하는 업체들은 폐전자기기를 분해 및 ... ...
- [교과연계수업] 에취! 더 독해진 겨울철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 있다.③ 겨울철 독감이 왜 더 유행하는지 이유를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6학년 생물과 우리 생활5. 수업 지도 순서독감 관련 뉴스를 찾아 영상을 보면서 겨울철 독감 환자가 많은 문제를 인식한다 ▶ 독감의 정체를 알고, 헷갈리기 쉬운 감기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독감이 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결국 와인잔이 목소리와 공명하게 만들어 진동을 통해 와인잔을 깰 수도 있답니다.2011년 7월, 서울에 있는 한 고층 건물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해 사람들이 대피하는 사고가 벌어졌어요. 대한건축학회의 조사 결과, 이 진동의 원인이 체육관에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답니다.이날 체육관에서는 수십 ...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후가 따뜻해졌기 때문이에요.약 1만 4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은 20년에 약 5℃씩 빠르게 올라갔어요. 그 결과 대륙을 덮고 있던 두터운 얼음이 녹기 시작했고, 이 물은 모두 바다로 흘러들어갔지요. 그래서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지고 빙하기 당시 야트막한 땅이었던 곳이 바다로 ... ...
- Part 2. 독감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크게 세 종류로 A형, B형, C형이 있어요. 이중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A형이에요. 년 초겨울에 유행하는 증상이 심한 독감을 A형 독감 바이러스가 일으키기 때문이죠. A형 독감 바이러스의 가장 큰 특징은 겉에 나 있는 두종류의 돌기예요. 하나는 ‘HA’라고 부르는 ‘헤마글루티닌’이고, 다른 ... ...
이전7057067077087097107117127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