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하지만 마르기까지 너무 오래 걸려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려면 몇 달, 심지어 몇
년
이 필요했지요.터너는 물감에 유향 나무에서 나오는 물질과 납을 섞어 젤 형태로 만들었어요. 이 물감은 빨리 말라서 화가가 며칠 이내에 그림을 완성하면서도, 입체감과 질감을 잘 표현할 수 있었지요.최근 프랑스 ...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있어요. 그때 벌집을 관찰하면서 벌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지고 궁금증이 커졌지요. 작
년
에는 털보말벌집에 무턱대고 얼굴을 들이밀다가 머리를 된통 쏘인 적도 있지만, 벌이 별로 무섭지는 않아요.”쌍살벌은 여왕벌을 중심으로 봄부터 10월 중순까지 부지런히 집을 키워요. 그 과정에서 수많은 ... ...
[도전! 코드마스터] 이제 운전도 SW에게 맡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덕분이랍니다.앞으로 2020
년
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2040
년
경이면 전세계 자동차의 75%가 자율주행을 할 것으로 예상돼요. 과연 SW가 바꾸는 우리의 삶은 어떤 모습일까요 ... ...
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한 작은 동물이었어요. 코도 멧돼지처럼 뭉툭하게 나와 있는 정도였지요. 하지만 수천만
년
의 긴 세월 동안 진화를 거듭하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생김새를 갖게 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매머드 멸종의 비밀을 찾아라!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Part 2.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또 한 번에 새끼 한 마리씩만 낳는데다, 새끼를 낳고 다시 새끼를 가질 때까지 무려 4~5
년
이 걸려요. 그래서 다른 동물에 비해 번식률이 높지 않답니다.빙하기가 끝날 무렵 털매머드는 수가 많이 줄어든 상태였어요. 이 경우에는 낮은 번식률이 멸종을 앞당길 수 있어요.국립문화재연구소 ... ...
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유행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한 건 작
년
11월 말이었어요. 11월 마지막 주에 독감으로 의심되는 환자가 1000명 당 13.3명을 기록하면서 독감 유행 기준(8.9명)을 넘어섰죠. 한 주 뒤인 12월 첫째 주에는 2배로 늘어난 34.8명, 그리고 둘째 주에는 61.8명, 셋째 주에는 86.2명을 기록하며 점차 심각해졌답니다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수학동아에서 3월 14일 ‘π-데이’를 맞아 재미있는 강연을 준비했습니다. π를 주제로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는 분들을 강연자로 모신 건데요. 예술가들 ... 그럼 다른 해보다 더 특별하게 π-데이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마틴 크리빈스키가 2016
년
π-데이를 기념해 만든 그래프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승정원일기’ 번역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수백
년
전 한문 고전을 빠르게 번역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2017
년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공공 서비스 촉진 사업’ ... 새로 입력해 번역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한국고전번역원은 45
년
으로 예상한 번역 기간을 18
년
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일치했다.연구 책임자인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은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8000
년
간 외부유전자의 유입 없이 유전적 연속성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세베루스 스네이프’에서 따왔다.미국 UCLA 국제교육대학 해리 콘리 교수는 1998
년
서태평양 마리아나 제도에 있는 괌 근처 바닷속 산호초에서 이 게를 발견했다. 약 30m 정도 땅을 파고 들어가 살고 있었다. 이때만 해도 새로운 종을 찾았다는 사실을 몰랐다. 하지만 최근 싱가포르 국립대 ... ...
이전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