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투명도가 아주 좋은 서울의 하늘이라면 오히려 스피카 밑에 위치하는 사각형
모양
의 작은 까마귀자리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남서쪽 하늘에 위치하는 시리우스는 황소자리로 움직여 오는 금성과 함께 서쪽하늘을 양분하며 초저녁하늘을 주도한다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PC는 기존 PC를 약간 축소시킨 크기에 손잡이를 달아놓은 것처럼 투박하고 우스꽝스러운
모양
에 너무나 무거워서 실용화되기에는 애초부터 난망이었다.이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의 무릎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의 랩톱(Laptop)이 등장하고 비로소 PC에 이동성을 부여했다는 평가를 받게 ... ...
1 생물의 모든 변화현상 매개하는 생명의 근본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사슬이 나선형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는 알파 구조가 있다. 효소는 이 두가지
모양
의 구조가 번갈아 나타나는 복잡한 입체구조를 이루고 있다.생명체의 생사가 관련되는 이 효소들이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은 이러한 구조 변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삶은 달걀이 병아리가 ... ...
물리- 물질의 근본 입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한다.하드론들을 성질에 따라 분류하면 팔정도(八正道, eightfold way)라 불리는 대칭적인
모양
으로 정리될 수 있다. 팔정도는 하드론의 다양성을 정리하고 분류하는데 결정적인 노릇을 했다. 주기율표가 그렇듯이 그 주기적인 표에서 빈곳이 생겼다면 앞으로 발견해서 채워질 자리라고 예언할 수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좁은 특징을 가장 잘 지니고 있는 지역사람들은 중서부 출신에 많고, 반대로 일본인 이마
모양
의 특징을 결정하는 넓은 전두최소폭(前頭最小幅)은 경기도나 강원도의 중북부 출신에게서 볼 수 있다.인상형성에 크게 관계하는 눈의 길이는 한국인들이 주변민족에 비해 특히 작은 것이 특징이다. ... ...
${C}_{60}$이어 축구공
모양
${N}_{60}$ 컴퓨터 합성 성공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60개의 결합상태를 방대하게 계산해낸 것이다. ${N}_{60}$은 ${C}_{60}$과 마찬가지로 축구공
모양
. 약간 찌그러진 형태도 존재하나 계산의 조건을 변화시키면 완전한 축구공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N}_{60}$은 분자 가운데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어 결합이 파괴돼 ${N}_{2}$로 될 때 많은 에너지가 방출된다.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준비해 나갔다. 그는 기체의 압축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는 자신이 설계한 지팡이
모양
의 관에 수은을 넣고 공기를 외부와 차단시킨후에 압축시켜 나갔다. 그리고 그는 여기에서 압축시키는 압력과 밀폐된 공기의 부피사이에 일정한 수학적 관계성을 발견했다. 즉 밀폐된 공기의 부피는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안개잡이'작전을 만들어냈다.과거에도 안개를 이용한 예는 있다. 시리아 사막에서는 돔
모양
의 가옥 지붕에 밤 사이 발생한 안개(방사냉각에 의한다)의 수분을 부착시켜 주위의 홈통으로 받아서 이용하는 일이 몇 세기 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또 페루의 케추어족은 수천년 전부터 수목의 사이에 끼는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다. 이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파동의
모양
이 악기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모양
이 나타나는데 이를 음색(音色)이라고 한다. 그러면 큰 소리와 작은 소리는 물리적으로 무엇이 다른 것인가? 큰 소리는 에너지가 큰 것이고 작은 소리는 에너지가 작은 것인데 에너지가 크기 위해서는 매질의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날개
모양
을 끝없이 그려내고 있었다. 혼돈을 나타내는 이 그림은 놀랍게도 일정한
모양
새를 갖고 있었다. 혼돈(불규칙성) 속에
모양
(규칙성)이 숨어 있었던 것이다. 1971년 뤼엘과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타겐스는 난류 발생에 관한 이론을 발표하면서 로렌츠가 발견한 그림을 '기이한 끌개'(strange ... ...
이전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