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날개
모양
을 끝없이 그려내고 있었다. 혼돈을 나타내는 이 그림은 놀랍게도 일정한
모양
새를 갖고 있었다. 혼돈(불규칙성) 속에
모양
(규칙성)이 숨어 있었던 것이다. 1971년 뤼엘과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타겐스는 난류 발생에 관한 이론을 발표하면서 로렌츠가 발견한 그림을 '기이한 끌개'(strange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나타나며, 태양 자기장의 변화와 함께 그
모양
이나 크기가 다양하게 변한다. 흑점의
모양
은 불규칙하며 우리나라만한 정도에서 지구의 12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흑점이 보고된 적이 있을 정도로 그 크기는 다양하다.흑점은 그 크기가 클수록 사라지지 않고 오래간다. 수천km정도인 흑점은 수 시간만에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다. 이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파동의
모양
이 악기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모양
이 나타나는데 이를 음색(音色)이라고 한다. 그러면 큰 소리와 작은 소리는 물리적으로 무엇이 다른 것인가? 큰 소리는 에너지가 큰 것이고 작은 소리는 에너지가 작은 것인데 에너지가 크기 위해서는 매질의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안개잡이'작전을 만들어냈다.과거에도 안개를 이용한 예는 있다. 시리아 사막에서는 돔
모양
의 가옥 지붕에 밤 사이 발생한 안개(방사냉각에 의한다)의 수분을 부착시켜 주위의 홈통으로 받아서 이용하는 일이 몇 세기 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또 페루의 케추어족은 수천년 전부터 수목의 사이에 끼는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좁은 특징을 가장 잘 지니고 있는 지역사람들은 중서부 출신에 많고, 반대로 일본인 이마
모양
의 특징을 결정하는 넓은 전두최소폭(前頭最小幅)은 경기도나 강원도의 중북부 출신에게서 볼 수 있다.인상형성에 크게 관계하는 눈의 길이는 한국인들이 주변민족에 비해 특히 작은 것이 특징이다.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준비해 나갔다. 그는 기체의 압축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는 자신이 설계한 지팡이
모양
의 관에 수은을 넣고 공기를 외부와 차단시킨후에 압축시켜 나갔다. 그리고 그는 여기에서 압축시키는 압력과 밀폐된 공기의 부피사이에 일정한 수학적 관계성을 발견했다. 즉 밀폐된 공기의 부피는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만든 여러 형태의 연중 가장 대표적인 연은 방패연이다. 방패연은 장방형의
모양
으로 방패를 닮았다고 해서 이같이 이름이 붙여졌는데, 일명 꼭지연 또는 방구연이라고도 한다. 몽고 중국 러시아 일본 등지에서도 사각 형태의 방패연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방패연은 가운데 방구멍이 뚷린 것으로 ... ...
물리- 대기압 이용한 요술 여섯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풍선은 원래의 크기가 된다. 만약 주사기를 처음보다 더 많이 잡아당겼을 때는 풍선
모양
이 어떻게 될 것인지 실제 실험을 해 보도록 하자. 3. 플라스크 안에 풍선 넣기플라스크에 풍선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플라스크에 풍선을 넣고 공기를 불어 넣었다고 할지라도 풍선의 입구를 막지 않는 이상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20cm로 몸색깔은 갈색이나 검은 색이다. 한 종(種)에서 많은 종(種)이 파생된 새다. 부리의
모양
과 크기에 따라 종류가 구분된다.딱따구리 방울새와 홍수림 방울새는 영리해 도구를 사용할 줄 안다. 그들은 먹이인 유충을 찾아낼 때 선인장의 가시를 이용한다.가시가 수 없이 돋아난 선인장은 키가 1m가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곳이다. 척삭은 발생하는 생물의 일시적인 골격 역할을 하는 딱딱한 막대고 상판은 부푼
모양
의 조직으로 결국 척수(脊髓)가 되는 곳이다. 과학자들은 이 두개의 구조물이 협력해서 주변의 세포들이 후뇌(後腦) 전뇌(前腦) 운동신경 혹은 신경계의 다른 구성원 중 어떤 부분이 될 것인가를 결정해 ... ...
이전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