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다른 지방의 얼음이 녹아서일 것으로 추측한다.컬럼비아 대학의 리차드 페어뱅크스
박사
는 산호초를 연구해 과거 1만8천년 동안의 해수면의 변동을 조사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1만4천2백년 전까지는 1세기에 약 4.2m씩 해수면이 상승했고 1만1천3백년 전까지는 1세기에 약 3.6m씩 상승했다는 것. 그러나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몰려들어 아우성을 치고 있다. 아울러 대덕 본토박이 아이들과 외국에서 들어온
박사
급 연구원 아이들간에 빈부와 습관의 차이로 마찰이 자주 있어 학부모들이 골머리를 앓기도 한다.심각한 주택난도 두통거리다. 현재 중부지역에 1천2백60가구, 남부에 2백8세대 등 1천6백여가구가 들어서 있지만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우리만큼 심하지 않다. 따라서 단풍이 우리만큼 아름답지 못하다. 아마도 몰리시
박사
가 한국의 단풍을 보았더라면 한국의 단풍이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칭송했을 것이다.붉은 단풍을 '책임지고' 있는 화청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곧 강연을 시작할 스티븐 호킹
박사
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이날의 열기는 호킹
박사
의 지명도를 새삼 확인시킨 것인 동시에 이제 우리사회에서 과학자도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못지않은 대중의 스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싱징적인 '사건'이었다.따지고 보면 이같은 해프닝이 우발적이라고는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단순한 기술로 평가절하돼 왔던 불꽃제조술이 이제는 과학의 영역에 포함되게 되었다.해마다 추석 대보름날, 그리고 최근에는 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당시 경기장에서 혹은 산위에서 밤하늘을 향해 쏘아 올려지는 폭죽(fireworks)의 찬란함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필자가 유학중인 ... ...
에너지 절약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가능한 양을 30% 정도로 잡고 있다.한국 동력자원 연구소 에너지절약기술센터장 최수현
박사
는 "우리나라의 에너지절약기술은 10년 역사를 갖고 있다. 1, 2차 오일쇼크를 겪고 80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기술개발을 수행해 많은 부분을 실용화시켰다. 페만 사태 이후 에너지 문제에 많은 사람들이 재차 ... ...
마늘, 약으로 쓰일수 있나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많은 의학적 검증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토론회를 주관한 캘리포니아 국제건강사(祉) 린
박사
의 말이다. 실제로 이번 토론회에 보고된 '마늘복용성공사례'중에 판매이익을 노리는 식품상들의 조작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그러나 하루 2~3쪽의 마늘이 비타민을 먹는 것과 마찬가지로 몸에 ... ...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따라서 중성미자는 질량을 갖는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베스
박사
는 아직 자신의 설명을 통일장이론에 확대할 준비는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일장이론은 지금까지 알려진 물질계의 네가지 기본적인 힘을 하나로 묶는 골격을 찾는 것이다. 이 네가지 힘은 중력, 전자기력, ... ...
PART2 실리콘 밸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한국지사도 현재 갑일전자로 넘어가 있는 실정.실리콘밸리에는 현재 30여명의
박사
급과 4백여명의 석사급 한국계기술자들이 꿈을 키워가고 있다. 현재 실리콘밸리 일대에 거주하는 한국인은 1만명 정도. 삼성 금성 효성 현대 등 국내기업들도 현지법인 형식으로 실리콘밸리에 진출해 있다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가족사진과, 아인슈타인의 사진, 사하로프와 같이 찍은 흑백사진이 걸려있고 또 호킹
박사
를 묘사한 게리 라슨의 만화가 있다. 라슨의 독특한 세계가 천재 물리학자와 교감을 이루고 있는지도 모른다. 라슨은 과학세계를 묘사한 많은 작품을 남겼다 ... ...
이전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