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사흘간 관찰했던 규슈의 지질구조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렸다. 지도교수인 정창희
박사
의 지질학 강의도 곁들여졌다. 올해 71세의 노학자는 솔선수범하면서 탐사를 주도했고, 다방면에 걸친 해박한 지식으로 -그것도 유머감각을 가지고- 교사들의 질문에 대답해 주었다.후쿠오카에 도착한 뒤 시내를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최대고민'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진 변비는 왜 생기는 것일까.서울중앙병원 이영상
박사
(내과)는 "변비는 오래도록 체질 때문에 발병된다고 생각해 왔으나 최근들어 장의 운동능력 상실에 기인한다는 학설이 제기됐다"고 말했다.변비의 원인은 식생활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식사량이나 수분섭취가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미국의 과학재단격인 NSF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전임 과학재단이사장이었던 정근모
박사
(전 과기처 장관)가 이 제도를 국내에 도입했는데 틀림없이 좋은 결과가 나올 겁니다."89년도에 13곳, 90년도에 17곳이 우수연구센터(SRC ERC)로 선정됐는데 그 경쟁은 불꽃을 튀겼다. 따라서 작년에 신청한 1백25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신체장애자이고 언어장애자이며 동시에 천재다. 호킹
박사
는 지난해 9월10일 우리나라를 방문해 두차례의 강연을 마치고 돌아갔다. 그의 방문 이래 국내에서는 우주론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돼 가고 있다. 우주의 탄생 및 그 미래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호킹은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농약성분인 유기불소화합물에서 추출한 타분이라는 물질인데, 1936년 독일의 슈뢰더
박사
가 개발했다. 그후 1942년까지 독성이 더 강한 사린 소만 등이 선보였지만, 2차대전중 전쟁터에 살포되지는 않았다. 연합국의 대량보복을 두려워 한 독일이 사용을 자제한 것.2차대전 후에는 타분 사린 소만 등 ... ...
동물체 내에 유전자 주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투입하거나 유전병을 치료하는데 크게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장인 스테판 존스톤
박사
는 "이 기술은 유전자요법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분야에도 폭넓게 응용될 것"이라고 말한다.유전자요법으로 현재 가장 널리 행해지는 방법은 생체의 세포를 일부 추출하여 이속에 작은 침(유전자총)으로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치르고 연구논문을 작성한 후 마치는데, 이 때 받는 학위는 Candidate of Science. 다른 나라의
박사
학위에 해당된다. Doctor of Science도 있는데 이는 주로 학문의 절정기에 거대한 논문을 작성한 후 받는 학위로서 교수가 되는데는 필수적인 과정이다.의대학생들도 연구에 종사할 수 있는데, 경쟁이 몹시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소위 Big Shot (유명인사)들 보다는 젊고 열성적이며 과학활동이 한창 절정기에 올라,
박사
과정의 학생들에게도 시간을 할애할 용의가 있는 교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고 생각한다.현재 필자가 몸담고있는 예일대학은 1701년도에 창립돼 미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교중의 ... ...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권오대(레이저반도체가공)교수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원자력연구소의 이종민
박사
팀은 레이저응용분야로 최근 각광받고있는 핵연료농축과 동위원소 분리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레이저에 관한 해외한인과학자로는 미국 마이애미대학의 김진중교수가 구리증기레이저의 권위자로 ... ...
성 호르몬 과다가 불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적한다. LH 과다는 모든 원인 중에 부수적인 것일수도 있다는 것이다.한편 자콥스
박사
는 자신들의 연구가 생리주기의 전반기에 관한 최초의 고찰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불임문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생리주기 후반기에 초점으로 두고 진행됐다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