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베타락탐계 항생제의 개발이 중요한 연구과제였다. 1976년 미국의 우드워드(Woodward)
박사
는 순수합성에 의한 베타락탐계 항생제를 개발했다. 이 항생제는 페넴(penem)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 같은 해 미국 머크사의 연구원들이 카바페넴(carbapenem) 구조를 갖는 티에나마이신(Thienamycin)을 개발해 냈다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로 고소해 놓은 상태. 또한 정부 차원에서 상공부를 통해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은
박사
가 개발한 공업용다이아몬드 제조기술이 위협적임을 반증해주는 예다.현대를 과학기술사회라고 한다. 그만큼 과학기술자의 역할이 중요한 때다. 저임금을 바탕으로 단순 조립 기술에 의존했던 우리나라도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입자는 남색 노랑 자홍색(magenta)로 표시된다.1974년 코넬대학의 물리학자인 케네스 윌슨
박사
는 QCD이론을 3차원 격자구조로 설명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몬테카를로기법이라는 수학적인 테크닉을 응용하면, 이 격자구조의 눈을 세밀하게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당히 정확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주장했다."우리는 냄새수용체와 관련된 수백개의 유전자를 이미 확인했다"고 악셀
박사
는 얘기한다. 이 유전자들은 냄새 유전자군(群)에 속해 있는데 어쩌면 이 냄새유전자군이 포유류 DNA중 가장 긴 사슬로 이뤄졌을지도 모른다는 게 연구진 진단.우리의 눈은 오직 세가지 유형의 수용체로 만물의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왕성하게 탄소를 흡수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지구전체적으로 보면 아직 판
박사
의 모델이 상당한 설득력을 갖지만, 플랑크톤이 왕성한 바다일수록 탄소흡수가 활발해 해양으로의 탄소유입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남극부근의 바다에는 플랑크톤의 수가 다른 곳에 비해 적은 편이다.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등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 국가종합해양관측망 연구과제에는 해양연구소 이동연
박사
(해양환경공학연구실장)를 책임자로 과학기술연구원 현대중공업 기상연구소 서울대 인하대 부산대 등이 참여하고 있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어린 시절을 스위스 뉴욕 런던 등지에서 보내고 1960년대 중반 MIT에서 건축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땄다.그의 학위논문은 기존의 제도용구에 의존하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해 건축물을 설계하는 새로운 기계를 주제로 다루었다. 요즘의 CAD(컴퓨터 이용 설계)와 비슷한 개념이다. 그는 졸업후 MIT에 남아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따라서 검시관들은 매일 시체와 더불어 산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법의학 1과장 서재관
박사
는 "부검은 빠를수록 좋고 그러기 위해서는 시체에 더가까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또 "검시는 단순한 시체해부가 아니라 국민의 억울한 죽음을 없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어 변사자에 관한 한 국가가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못하는 불균형 현상이 점차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제크 셀
박사
에 따르면 60년대만 해도 2000년의 세계인구가 65억 정도로 예상됐으나 최근에는 앞으로 30년후의 인구가 80억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식량생산을 위한 경작면적이 10% 늘어난다고 해도 지금과 같은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개발, 학계의 큰 관심을 모았다. 프랑스 남부 낭시생화학연구소의 클로드 비네롱
박사
가 그 주역.이 인공혈액은 적혈구로부터 헤모글로빈을 추출, 이를 동결보관했다가 유사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이 헤모글로빈 추출물은 물에 타 사용하게 돼 있어 기존의 인공혈액인 탄불화물보다 훨씬 ... ...
이전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