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타고 동쪽인 해안쪽으로 20여분 남짓 달리면 만날 수 있다. 이 곳의 천문학과는 전원
박사
학위 과정인 20여명의 대학원생과 16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돼있다.연구분야는 방대해서 적외선 관측에 의한 성간물질의 이해를 중심으로 작게는 태양 연성 갈색왜성(brown dwarf) 크게는 우리 은하 중심 정상은하 및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때문이었다. 그래서 광산업자들은 데이비
박사
에게 안전등의 발명을 부탁했다.데이비
박사
는 즉시 연구에 착수했다. 그러나 '가스는 불을 만나면 폭발한다'는 고정관념이 그의 연구를 1년동안이나 방해했다.그러던 어느 날, 그는 무심코 알코올램프에 불을 켜고 그 위에 철망을 얹어 보았다. 그러자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투자했다. 지금도 IBM의 위력은 이때 만들어진 연구센터 '왓슨연구소'에서 나오고 있다.
박사
급 연구원만도 2천명이 넘는 그야말로 거대한 두뇌공장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드디어 IBM의 작품이 SSEC(Selective Sequence Electric Calculator)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나왔다. 수석엔지니어는 프랭크 해밀턴과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공계 유학생의 절대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유학을 좋은 자리의 '자격증'으로 인식하는 풍토는 오히려 사라지고 있다.2만 2천5백48명.외무부가 집계한 90 ... 더 이상 '필수가 아닌 필요'임을 강조하는 한국과학기술청년회장 장수철씨(연세대 생물학과
박사
과정)의 뼈있는 한마디다 ...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수년 혹은 수십년간에 걸쳐 해왔으므로, 대학원생의 실험에 대한 지도와 상담을 해준다.
박사
과정을 마친후 나는 일본의 대기업인 히타치사(社) 중앙연구소에 입사했다. 사실 일본유학을 준비할 때부터 기회가 닿는다면 기업연구소에 입사해 경험을 쌓고 싶다는 생각은 갖고 있었다. 일본의 경우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농축된 가스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기기의 기본원리는 영국의 노벨수상자인 디락(P.Dirac)
박사
의 아이디어다. 유전자 조작도 가능미소기기를 제작하려면 실내의 환경 제어가 중요하다. 즉 먼지 습기 정전기 온도 등을 제어해야 한다. 먼지는 발생원을 제거하고 거름막을 써서 공기중의 부유물을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다. 순수학문의 성격이 짙은 수학 물리학 화학 지구과학 등을 전공으로 할 경우
박사
과정까지 밟는 소수를 제외하고는 자신의 전공을 살리기가 힘들다는 말이다.국내기업들은 당장 제품생산에 필요한 연구이외에는 투자를 하려고 들지 않는다. 이에 비해 IBM이나 AT&T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은 산하에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는 '중력렌즈'로 불린다.이러한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최초의 암시는 아인슈타인
박사
가 일반상대성이론을 고안해 냈던 지난 1916년에 있었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빛은 유리를 통과할때 비스듬히 꺾이는 것처럼 질량이 큰 물체의 근처를 지날 때에도 굴절되어야 한다.두 굴절의 차이란, 빛은 ... ...
식물에서 새로운 연료 추출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만드는 데 있어 현재의 연구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해 있을까. 맥렌든
박사
는 "많은 사람들이 아주 우수한 분자를 합성했고 광합성 전과정의 90%정도는 파악을 한 상태"라고 밝힌다. 그러나 그는 "이것은 우리가 다리를 건설하는데 90%정도의 공법만을 알고 있다는 것과 같다. 이 상태라면 누구도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교육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상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반론을 편다.한
박사
는 이어서 "영재는 그냥 두어도 잘 자란다는 잘못된 통념이 있어요. 단순히 학교성적만을 놓고 말한다면 그럴 듯하게 들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과학영재의 창의적 잠재력을 최대로 개발해준다는 영재교육의 ... ...
이전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