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참에 ‘별모양화’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반짝이는 별을 닮은 다면체12월에는 많은 사람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크리스마스가 있다. 그래서 12월초부터 백화점이나 교회에서는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기 위해 건물 외벽이나 나무에 장식을 한다. 가정집도 예외는 아니라서 가족이 함께 크리스마스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하지만 정작 아인슈타인 본인은 이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이를 처음 제대로 알아챘던 사람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였다. 1921년 독일인 학자가 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의 원리’를 이탈리아어로 번역할 때, 그는 아인슈타인의 공식을 통해 원자핵의 엄청난 에너지를 끌어낼 수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착륙하기까지 실패 8번, 부분성공(부분실패) 2번이라는 성장통을 겪었다. 그러고도 1969년 사람이 달에 첫 발을 디디기까지 28번 더 실패했다. 수많은 실패를 견디며 달 탐사기술은 성장했다. 1971년 루나 18호가 마지막으로 실패(달 표면에 충돌)한 이후 지금까지 달 탐사선은 한 번도 임무에 실패하지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분광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심지어 영화처럼 웜홀이라는 필터가 있는 이상 지구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화처럼 인간이 직접 가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한 뒤, 웜홀을 통해 정보를 보낼 수밖에 없다. 김 그룹장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된 뒤 외계행성이 7000 ...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낸 뒤 반사된 음파를 귀로 듣고 장애물을 피하기 때문이다. 마치 고래나 박쥐 같다. 혹시 사람도 귀를 제2의 눈 삼아 공간을 ‘볼’ 수 있을까.독일 뮌헨대 러츠 위그레브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보면, 청각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청각과 함께 몸의 다른 부위도 공간을 인식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다. 날씨가 추워지면 감기환자가 늘어나는 것처럼, 세상이 각박해질수록 마음이 아픈 사람도 많아진다. 그들은 오늘도 우리 주변에 있다. 어쩌면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일 수도 있다. 마음이 아프다면 주저 말고 병원으로 오시라. 고치면 되는 일이다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대학이 있는 봉천고개를 한 발짝씩 오르면서 ‘숭실’이라는 말을 곱씹어봤다. ‘실리(實)를 숭상(崇)한다’라는 뜻이 아닐까 싶어, 우희덕 입학관리팀 과장을 만나자마자 물어봤다. 예상 ... 오르락내리락하며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역시 ‘숭실’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사람들이었다 ...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성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마음이 파동으로 변하면 몸 밖으로 나가 다른 사람이나 물질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네요. 마음이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고 치유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혹시 환자의 건강한 모습과 아픈 모습이 중첩돼 있을 때 의사의 마음이 환자를 건강한 모습으로 수렴하게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비빔밥을 먹으러 간다. 가끔 비싼 요리를 대접하려 해도, 한사코 비빔밥만 고집한다.주위 사람들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도 나카무라 교수의 특징이다. 본인이 회사와 오랜 특허 소송을 치뤄서인지 학생들에게도 우수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 특허를 출원해 연구결과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 소장은 “개념은 새롭지만 현상 자체는 염기분석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보통 직선 모양의 데이터가 나온다. 하지만 종종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데,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 ...
이전708709710711712713714715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