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비빔밥을 먹으러 간다. 가끔 비싼 요리를 대접하려 해도, 한사코 비빔밥만 고집한다.주위 사람들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도 나카무라 교수의 특징이다. 본인이 회사와 오랜 특허 소송을 치뤄서인지 학생들에게도 우수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 특허를 출원해 연구결과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 소장은 “개념은 새롭지만 현상 자체는 염기분석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보통 직선 모양의 데이터가 나온다. 하지만 종종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데,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나왔는데, 이 연구팀은 2012년에 유사한 연구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이들은 사람을 비롯해 침팬지, 붉은털원숭이 등 포유류 8종의 Y 염색체 염기서열을 비교했다. 이 결과 2500만 년 전 부터 지금까지는 Y 염색체에서 단 한 개의 유전자만 사라졌으며, Y 염색체의 몰락은 끝이 났고, 앞으로도 이 상황이 ...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역사학자들이 사람 사는 세상을 글로 남기듯, 신종헌터는 생물의 역사를 글로 남기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조장천 교수는 “신종헌터가 역사학자보다 좋은 점은 생물역사에는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HPP)’ 첫 번째 워크숍이 열렸다. 여기에는 간이나 뇌, 혈장 속의 단백질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함께 모였다. 하지만 연구하는 부위나 방법이 다르다 보니 결과물을 공유하기 어려웠고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인간 게놈 연구 때 사용했던 전략을 활용해 유전자 순서대로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다. 달라진 시대의 파도는 출판사에 가장 먼저 찾아 왔다. “살림살이가 어려워지면 사람들이책부터 안사고 그 중에서도 과학책이 먼저”라는 조 대표의 말이 기자에게도 아프게 다가왔다. 중국 진출도 이런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한 방편이다. 당장 성과는 없다. 책은 보냈는데 얼마나 팔렸는지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상 계속된 만성탈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했어. ● 콜라도 액체인데 왜 탈수일까? 사람은 몸속의 물이 1%만 부족해도 목마름을 느끼지. 이때 물이 아닌 콜라를 마시면 일시적으로 해결이 돼. 콜라도 물처럼 액체니까 말이야. 그런데 왜 탈수냐고? 콜라에 들어있는 카페인이 이뇨작용을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단일 분자 기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형광 단백질이 깜빡이는 과정을 밝힌 사람도 바로 머너였다. 그래서 머너의 노벨 화학상 수상은 오래 전부터 예견됐다.생물학은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살아 있는 세포에서 단백질과 염색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는지를 고해상도로 볼 수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모르는 배우자와 결합해 아기를 낳기보다는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해 아기를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개인주의적 성향이 남성과 여성을 동시에 도태시키고 한 가지 성별을 정착시킨 것이다. 그러나 진화적으로 성별이 하나가 되는 것은 문제가 많다. 같은 유전자를 반복해서 복제하기 때문에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높은 확률로 구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같은 테스트를 받은 원숭이나 물개, 꿀벌, 사람보다 훨씬 나은 성적이었습니다. 적어도 냄새를 잘 맡는 것으로 알려진 쥐만큼 후각 능력이 뛰어났지요. 아쉽게도 아직까지 개와 코끼리가 냄새 맡기 대결을 한 연구 결과는 없답니다. 후각은 생존환경에 따라 ... ...
이전7127137147157167177187197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