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끄는 연구팀은 사이언스 11월 19일자에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13년전 탄소나노튜브가
처음
개발된 이래로 탄소나노튜브는 나노테크놀로지의 총아였다. 아주 작은 관모양의 분자들이 강철보다 더 강하면서도, 유연하고, 전도성까지 있어 화학 센서부터 나노스케일의 컴퓨터 회로에까지 쓰이지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안쪽의 구별이 없는 면(단측면〈單側面〉)임을 알 수 있다곡면의 이러한 성질을
처음
지적한 A F 뫼비우스를 기념하기 위해 이 곡면을 「뫼비우스의 띠」라고 부른다 1929~ 독일의 물리학자 뭔헨에서 태어나 뭔헨 공과대학에서 물리학을 배웠다 뫼스바우어 효과를 발견하고 61년 노벨 물리학상을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받게 된다. 노벨상의 역사상 이론이 나온 바로 이듬해에 상이 수여된 것은 이때가
처음
이었고 그 뒤에도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 실험에 대해 197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이론 물리학자 압두스 살람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나는 친구에게 왼눈만 가진 거인을 묘사한 고전 작가가 있는지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일정한 속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암석에 동위원소가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알면 암석이
처음
생겼을 때부터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필자의 연구팀은 화강암에서 각섬석과 장석 광물을 분리해 각각을 불산(HF)용액으로 160℃에서 완전히 녹였다. 이 용액에서 방사성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 있을까? 아이마 소장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소설에서 반물질을
처음
만들어낸 곳이 CERN이라는 것은 맞는 얘기다. CERN은 1995년 반물질을 제조하는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때 만들어진 반물질은 반수소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조한 반수소는 고작 수천개 정도. 폭탄과는 거리가 먼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식됐다.말머리성운이 암흑성운으로서 천체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을
처음
으로 깨달은 사람은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워드 버나드였다. 오늘날 암흑성운은 별의 탄생과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아주 중요한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말머리성운은 태양계에서 1200광년 가량 떨어져 ... ...
가장 잘 보존된 한국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공룡알 화석이 추가로 발견됐다.국내에서는 1973년 경북 의성군에서 공룡뼈 화석이
처음
발견된 이후 경남 합천군과 진주시, 전남 보성군 등 10여곳에서 공룡뼈 화석이 나왔으며 원형의 15%가 발굴된 게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발산하는 자연 형광색과 구분하느라 상당한 애를 먹었다고 한다. 에릭슨은 사진을
처음
봤을 때 이 일이 매우 도전적인 과제임을 깨달았다고 한다. 진드기의 입에서 나오는 빛이 에머랄드빛의 녹색에서부터 보라, 그리고 화산처럼 붉은색 그리고 연어 살이 갖는 오렌지색까지 매우 다양했던 것이다.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선수의 기록은 8.079초. 세계 신기록이었다. 더구나 21살의 여자 선수였다. 올림픽 역사상
처음
으로 여자가 1백m 달리기에서 남자를 이기는 순간이었다.이와 같은 상상이 현실로 나타날까. 영국 옥스포드대 앤드류 테이텀 교수와 케냐 KEMRI 연구소 사이먼 헤이 박사는 ‘그렇다’고 말한다. 이들은 영국 ... ...
아프리카에서 겨울나는 붉은등때까치 국내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주로 번식하고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보내는 ‘붉은등때까치’ 가 국내에서
처음
으로 발견됐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달 16일 전남 신안군의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인 홍도에서 때까치과인 붉은등때까치 새끼 한 마리를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붉은등때까치는 영어 이름인 ‘Red-backed Shrike’ 를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