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학계 연합 표준화기구인 기술대연합에도 핵심 멤버로 참여 했다.당시 그는 세계에서
처음
으로 완전한 디지털 HDTV 규격을 제안해 일본, 유럽의 아날로그 HDTV기술을 무력화시키고 다기능을 갖는 고화질 디지털TV 탄생의 길을 활짝 열었다. 그가 개발한 디지털TV 신호의 압축과 암호화 방식 ... ...
북한, 토끼 복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북한 실험생물학연구소가 지난 2002년 성공했다는 복제토끼가 외부에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스톤을 안내한 37세의 젊은 과학자인 연구소의 리학철 박사는 “이 토끼는 당시 복제에 성공한 6마리 중 하나로 조만간 서구 과학자들에게 복제 동물임을 확인할 기회를 주겠다”고 말했다.한편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백억원을 투자해 수소충전소와 연료전지차량을 보급할 예정이다. 과학기술부 역시 올해
처음
으로 연료전지 원천기술 개발에 70억원을 책정했다. 때맞춰 국내 업체들도 관련 연구 결과를 내놓기 시작했다.현대자동차의 경우 산타페를 개조한 수소차 개발에 성공, 시험생산에 들어간데 이어 3년간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왕래하면서 한국을 금이 풍부한 섬나라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높다.실제로 한국을 서양에
처음
알린 것은 아랍상인이었다. 8세기부터 우리나라를 찾았던 그들은 남해안의 섬을 가리켜 해도에 ‘신라’(Sila)라고 썼다. 그들은 우리나라가 살기가 좋으며 금이 많이 나고 여섯 개의 섬으로 구성돼 있다고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6월 19일 한국항공대 황명신 교수(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와 은희봉 교수(항공운항학과)는
처음
으로 보라호의 조종키를 잡았다. 10분간 시험비행에 성공했다.하지만 8월 27일 5번째 시험비행에 나선 두 교수는 그들의 꿈을 창공에 묻은 채 다시 착륙하지 못했다.시험비행의 프런티어 잃다 “소형항공기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결합해 얼음과 비슷한 형태로 변한 것이다. 1967년 러시아의 시베리아 얼음지대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극지방, 해저 등에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물질에 들어 있는 탄소의 양은 석유, 석탄, 천연가스에 들어 있는 탄소의 2배에 달한다.일본지질조사소는 일본 주변에 1백년 동안 쓸 수 있는 천연가스가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우주태양광은 1968년 미국 아서디리틀이라는 회사의 물리학자 피터 글레이저 박사가
처음
으로 제안했다. 이 제안은 1970년대에 미에너지부(DOE)과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검토됐다. 특히 1976-1980년 에너지 파동이 있을 당시 본격적인 연구가 이뤄졌다. 그러다 에너지 파동이 끝나면서 관련 기술이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교통흐름 모델은 많았지만 감속하는데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반영한 모델은 이번이
처음
”이라고 설명했다.운전자 과반응으로 차량 몰려다녀기존의 교통흐름 모델이 가진 또하나의 한계는 자유흐름에서 차들이 몰려다니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자유흐름일 때는 희한하게도 운전자가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노동자들은 조립할 부품을 가지러 이동할 시간을 자동차 조립에 쓸 수 있었다. 모델 T가
처음
나올 때만 해도 한대를 조립하는데 14시간이 걸렸지만 1914년에는 9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결국 1910년 1만9천대가 생산되던 모델 T는 1913년 17만2백11대가 공장에서 출하돼 3년 만에 생산량이 10배 가까이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을 지은 조선시대 명의 허준이 동아시아에서는
처음
으로 성홍열에 대해 관찰 연구를 한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신동원 교수는 18일 한국과학사학회 ‘이달의 과학기술인물 세미나’ 에서 “허준은 1613년 북쪽지방에서 유행했던 성홍열에 대해 매우 면밀한 관찰결과를 보고했는데 이는 ... ...
이전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