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고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이번 연구는 피부과학분야로는 국내에서
처음
으로 학계와 산업계가 협력한 사례가 됐다. 이번 산학협력에 대해 태평양 소비자미용연구소의 김종일 박사는 “불모지와 같은 우리나라 피부과학 연구에 기초를 쌓은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지난 5월로 1단계 ... ...
가짜 유기농산물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진위를 가릴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
개발했다.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노희명 교수는 7월 14일 “질소 동위원소의 존재 비율을 이용해 화학비료나 농약을 쓰지 않고 재배한 유기농산물인지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자연계에서 질소는 ‘질소14’ (${}^{14}$N)와 이보다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카시니호의 이미지그룹을 이끄는 카롤린 포코 박사는 “14년 간 이 임무를 수행해 왔지만
처음
으로 이 사진들을 봤을 때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말했다. 카시니호에 장착된 영상 장비의 해상도는 인간의 눈 정도라고 한다. 우리가 보는 카시니호의 영상은 우리가 카시니호를 직접 타고 가서 본 것과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때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 산화불과 중성불, 환원불이 그것. 가마의 온도를 올릴 때
처음
에는 평불에 해당하는 중성불을 땐다. 중성불은 쉽게 말해 특별한 기법 없이 땔감으로 온도를 올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그런 다음 어느 정도 고온이 되면 땔감이 재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되는데, 이를 사용해 메시지를 암호문으로 만든다. 이렇게 한번 만들어진 암호문은
처음
의 소수를 알아야만 메시지를 변환할 수 있다.개발자들은 공개키 암호시스템의 보안성을 자신했다. 그래서 1977년 미 과학잡지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자신들이 만든 1백29자릿수의 자연수를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얼마전 아돌프 히틀러의 유년 시절 그림이 인터넷에 공개돼 화제를 모은 적이 있다. 한 소장가가 웹에 히틀러의 그림을 올리자 다른 소장가들도 하나 ... 콘텐츠를 단순히 읽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고치는 것이 가능하다. 1994년 워드 커닝햄이
처음
개발한 방식으로 공동체적 성격이 강하다 ... ...
과학체험으로 시작하는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후배 과학자들을 만나게 돼 기뻤다”고 말했다.첨단과학기기를
처음
접한 학생들은 다음 프로그램이 지체될 정도로 질문을 쏟아냈고 연구원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설명을 찾느라 땀을 뻘뻘 흘렸다. 그러나 호기심이 많은 학생들을 바라보는 이들의 눈빛에는 미래의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수영이나 다이빙 실력이 수준급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처음
시도하는 사업인만큼 어려움도 많다. 하루 평균 3번씩 잠수하고, 한번 들어갈 때마다 30분-1시간씩 걸리기 때문에 무리하면 자칫 관절통이나 두통에 시달리기도 한다. 방류한 물고기들이 인공어초에 들어오지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곳 학생들을 만나본 결과 똑똑한 건 사실이지만 두려워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
처음
이라서 어깨가 무겁지만 1년간 열심히 연구해 뭔가를 보여주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들과 학생들은 세미나를 위해 칭화대를 찾은 KAIST 전자전산학과 교수들과 학생들을 반갑게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사진이 천문학에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1890년 12월 울프는 하이델베르크에서
처음
으로 이 성운의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서 성운의 모습은 북아메리카대륙과 흡사했다.북아메리카성운은 매우 유명한 반면 펠리칸성운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얻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펠리칸성운의 복잡하고 ... ...
이전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