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한류 DNA를 찾아서과학동아 l2006년 01호
- 밖에 없다.지성은 그리스인보다 못하고, 체력은 켈트인이나 게르만인보다 못하며, 기술력은 에트루리아인보다 못하고, 경제력은 카르타고인보다 뒤떨어진다는 로마인이 수백 년간 대제국의 영광을 누릴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일본 작가 시오노 나나미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로마인 이야기’를 ...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과학동아 l2006년 01호
- 근육, 드라이브 능력에 관계있는 둔부(엉덩이)와 다리, 팔과 손의 조절 능력 등이 골프 기술에 영향을 주게 된다. 장점만 모아 모아그렇다면 한국 여자 골프 선수의 신체 특징이 골프의 이런 필요조건에 어떻게 맞아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를 위해 한국체육대에 재학 중인 여자 ...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운영에 대한 전체 밑그림을 완성한 것. 개념설계와 기본설계는 삼성중공업과 한국해사기술이, 실시설계는 STX조선이 담당했다.올해부터 약 3년에 걸쳐 진행될 2단계에서는 본격적인 건조가 이뤄진다. 건조를 맡을 업체는 국제입찰을 통해 공모할 예정이다. 연말쯤 부분별 건조를 시작하고 2007년부터 ...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과학동아 l2006년 01호
- 빅뱅이론(2005. 6), 코리아노사우루스(2005.7), 청계천 복원(2005.10) 등은 모두 한국의 과학기술이나 성과를 다룬 특집물이다.기념할 만한 과학의 역사도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 지난해 1월 ‘상대성이론 100년’ 특집은 국내 신문과 방송이 관련 내용을 그대로 보도했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2003년 5월 DNA ...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과학동아 l2006년 01호
- 꼽힌다.빛 대신 나노 물질을 사용해서 반도체를 제작하는 ‘소프트 리소그래피’ 기술도 박 교수팀이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다. PDMS라는 유연한 탄성체를 이용하면 곡면 위에서도 각종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고압 상태에서나 유독성 물질을 쓰지 않아도 공정을 설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과학동아 l2006년 01호
- 구획을 설정하고 여기에 인간 유전자 3만5000개를 실어 완전 자동화한 맞춤형 유전자 분리기술 연구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다. 이 장치가 개발되면 짧은 시간에 수십 개의 연구를 동시다발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뇌질환 연구에 더욱 획기적인 발전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유전자 ...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수의대 황우석 교수의 논문은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줄기세포 원천기술’이 남아있더라도 난치병 환자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 ...
- 3. 논문 진실찾기 흐름도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사이언스에 저자 삭제 요청12월 15일_ 노성일, 줄기세포 없다고 주장12월 16일_ 황우석, 원천기술 있다고 주장, 논문 철회 시인, 줄기세포 바꿔치기 주장. 노성일, 황우석 거짓말 한다고 반박12월 17일_ 김선종, 사진 조작 시인, 줄기세포 있다고 주장12월 18일_ 서울대 조사위, 황우석팀 본조사 착수12월 1 ...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과학동아 l2006년 01호
- 많은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논란을 촉발시키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IT)이 순기능을 할 지 역기능을 할 지는 결국 이용자들의 몫인 셈이다.김상욱 교수는 “미국국립보건원(NIH)나 미국연방식약청(FDA) 등 해외의 연구비집행기관의 웹사이트에는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과학동아 l2006년 01호
- 과학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과학기술은 현대사회와 문명의 기본 인프라이다. 과학기술 인프라가 삶의 질 향상과 행복추구를 위해 옳게 쓰이려면 사회 구성원들이 올바른 과학지식과 과학관을 갖춰야 한다. 이처럼 과학과 사회의 관계가 제대로 서기 위해서는 정보와 의사소통의 통로가 ... ...
이전7127137147157167177187197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