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꼽힌다.빛 대신 나노 물질을 사용해서 반도체를 제작하는 ‘소프트 리소그래피’
기술
도 박 교수팀이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다. PDMS라는 유연한 탄성체를 이용하면 곡면 위에서도 각종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고압 상태에서나 유독성 물질을 쓰지 않아도 공정을 설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 ...
[교과연계수업] 피겨 스케이팅, 회전과 점프의 과학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생각해 본다 ▶ 피겨 스케이팅의 점프
기술
의 종류를 소개한다 ▶ 피겨 스케이팅의
기술
에 숨어있는 과학적 원리 ‘각운동 보존법칙’을 설명한다 ▶ 피겨용 스케이트의 특징을 설명한다 ... ...
[교과연계수업] 원심력과 구심력의 조화, 쇼트트랙!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빠른 속도도 중요하지만 회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힘보다는
기술
이 중요한 운동이다. 111.12m의 짧은 트랙을 달리기 때문에 ‘쇼트트랙’이라고 부른다. *스피드 스케이팅 :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속도를 겨루는 경기로, 빙상 경기의 가장 기본적인 스포츠이다. ... ...
갓 지은 쌀밥보다 맛난 것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하지만 여전히 옛날에 먹던 가마솥 밥맛을 그리워하는 어른들이 많습니다. 첨단
기술
로 만든 전기 밥솥의 밥맛도 훌륭하지만 우리 한국인의 입맛에는 뭐니뭐니해도 가마솥 밥맛이 으뜸이라는 것이죠.도대체 가마솥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기에 가마솥에 지은 밥은 그렇게 맛있는 걸까요? 그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동작 하나 하나가 다 아름답지만 특히 몸을 활처럼 제치며 빠르게 회전하는
기술
은 정말 놀라울 정도예요. 사람 몸이 팽이도 아닌데 어떻게 제자리에서 그렇게 빨리 회전할 수 있는 걸까요? *각운동량 보존법칙피겨스케이트 회전의 비밀은‘각운동량 보존법칙’에 있다. 회전하는 물체는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아바타를 움직일 수 있지만 이렇게 손쉽게 아바타를 이용하기 위해선 굉장히 복잡한
기술
이 필요하대. 근사하지?이런저런 딴 생각을 하느라고 나는 보조 모니터에 쪽지가 왔다는 표시가 된 줄도 모르고 있었어. 반장인 진진이가 보낸 거였어. 난 오늘 전학 온 네가 비밀 학급회의가 뭔지 잘 모를까봐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깨우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지요. 사람을 냉동시킬 때 파괴된 세포를 고칠 수 있는 나노
기술
이 개발되어야 깨어날 수 있답니다. 냉동된 채로 미래로 가고 있는 냉동인간들. 그들은 깨어날 수 있을까요?따뜻한 봄을 기다리며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춥고 먹이도 없는 추운 겨울을 무사히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특별한 능력이라도 있는 걸까? 불행히 아직 과학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다. 현대 과학
기술
로는 지진을 정확하게 예측해 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태풍의 경우 발생부터 진로 예측까지 꽤 정확한 예보가 이뤄질 수 있지만, 지진은 발생하기 전 특이한 현상을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 ...
과학은 군대를 강하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상당한 물리학적 지식을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이와 더불어 철을 다루는 제련
기술
도 무척 훌륭해 화살촉 자체도 무척 튼튼했지요. 또한 탄성이 좋은 물소 뿔로 활을 만들고 소의 힘줄로 활시위를 만듦으로써 힘을 적게 들이면서도 화살이 멀리 날아갈 수 있었답니다.이런 특징들 때문에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굵으며 높이는 30~35cm이다)라고 불리는 식물로부터 얻었다. 고려시대의 자초염색
기술
은 세계적으로 유명했다고 전한다. 또 그 다음 중요한 색인 붉은색은 홍화에서 나오는 염료를 사용했고, 노랑색은 치자와 황백, 울금 등을 이용했다. 이뿐만 아니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라는 말이 있듯 ... ...
이전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