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않은
기술
과 조악한 초기제품 뿐인 신생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 회사의
기술
수준을 한눈에 알아보는 혜안이 필수다.한미창투의 황창석 이사가 대표적인 예다. 그는 국내 창투업계의 1세대 심사역이다. 대학에서 생물과학을 공부하고 경영학 석사를 마친 후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다가 9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하는데, 희한하게도 난 2주도 안돼 손에 익었어요.” 요즘도 오 교수는 패치클램프
기술
만은 학생들에게 직접 가르친다. 덕분에 연구단이 패치클램프를 다루는 수준은 세계 정상급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오 교수는 어려서부터 손재주 면에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였다고. 중학교 때는 ... ...
세계를 자석으로 끌어당기는 기업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정도다. 올 연말에도 다시 신제품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자석과 전자세라믹
기술
이 모두 집약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주력을 바꿔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자화전자를 세계적인 전자부품 업체로 키우고 싶다”는 그의 ‘일 중독’은 아직 끝이 없어 보였다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술에 취해 ‘필름이 끊긴’ 경우나 잠을 자고 있을 때도 닫히죠.”2001년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에서 일하던 그는 세포 내 이온 통로인 ‘T형 칼슘 채널’이 의식 차단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생쥐에서 T형 칼슘 채널을 제거하자 감각 신호 관문인 시상핵에서 통증신호를 차단하지 못해 계속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20세기를 마감하며 함께 사장됐다. 현재 뇌 생김새를 영상으로 만드는 가장 정교한
기술
이 자기공명영상(MRI)인데, 이젠 MRI로 사람 뇌를 1mm 보다 더 잘게 자를 수 있다. 사람의 뇌는 이랑과 고랑으로 이뤄져 있어서 MRI 영상을 잘 들여다보면 이랑 모양에 따라 뇌를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나눈 뇌의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게 가능하려면 소리를 음운 단위보다 작게 음소 이하 단위로 분석해야 하는데 그
기술
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 Smart D랍니다. 미국에서 만든 모양이에요.Smart D 프로젝트는 실험 프로젝트였던 모양인데요, A나 I 같은 모음은 읽을 때 변화가 너무 심하니까 첫 개발 대상으로는 어렵고, 쉬워 ... ...
문화재종합병원 개원 준비 중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문화재종합병원이 완공되면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의 보존처리 기관과
기술
협약을 맺고 전문 인력 교류를 추진해 문화재 보존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시칠리아복원연구소(CRPR) 한 곳에도 60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시칠리아섬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다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밝은 은하와 오리온성좌를 찍었다. 새로운 카메라를 제작하면 1~2년 동안은 시험하면서
기술
을 보완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즈텍은 별 문제가 없었다. 윤 교수는 오는 11월 다시 하와이에 가서 아즈텍을 시험할 계획이다. 이번에는 카메라를 시험하는 한편 은하도 관측할 생각이다.마침 JCMT로 관측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뉴캐슬 생명센터 연구팀이 만든 줄기세포주를 보관하고 있다.은행 설립 자금을 댄 생명
기술
과 생물학 연구회(BBSRC)의 줄리아 굿펠로우 교수는 “줄기세포 치료는 줄기세포가 뇌나 췌장 같은 특정한 세포로 변하는 과정을 조절하지 못하면 단지 꿈으로만 끝날 것”이라며 “줄기세포은행은 ... ...
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환호하며 즐거워했다. 기초연구에 묵묵히 매진하던 수상자들의 업적은 이제 응용
기술
로도 활짝 꽃을 피우며 인류의 발전과 복지에 기여하고 있다. 꾸준한 지원과 헌신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한국 과학자에서 수상자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올해 노벨 물리ㆍ화학ㆍ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 ...
이전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