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종종 그럴 때가 있다. 타인을 향한 말과 몸짓이 되려 자신을 감싸고 위무하는. 전 인류에겐 ‘골든 레코드’가 어쩌면 그런 존재가 아닐까.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에는 골든 레코드라고 불리는 지름 약 30cm의 금빛 LP레코드 판이 붙어 있다. 외계문명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지구를 대표할 음악 2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만든 ‘리히터 규모’에 따르면, 지진파 에너지 E의 크기는 1011.8×101.5×M과 같습니다. 여기서 M이 지진의 규모입니다.이 공식을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전자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는 미세한 나노입자를 표면에 정교하게 집적하는 연구를 한다. 같은 나노 소재라도 어떤 형태로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8의 진동은 한반도 전체를 흔들었다. 경주와 부산에서는 진도6, 즉 집이 흔들리고 집안 가구가 움직이는 진동이 느껴졌다. 서울에서도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눈과 이마, 눈썹, 코, 입과 입술, 눈썹, 턱, 뺨이다. 각 부위마다 피부 아래에 근육들이 단위를 이뤄서 움직인다. 각각의 단한 표정이 만들어진다. 얼굴 근육 대부분은 제7번 안면신경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표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눈 주위와 입 주위의 근육이다. 표정은 선천적이고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관점이다.개인주의는 개인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위라고 생각한다. 개인주의 사회에서 모든 사람은 그 자체로 고유하고 특별한 존재이며, 집단의 목표와 개인의 욕구가 상충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선택을 내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업, 배우자, 학교 ... ...
- 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어낼 수 있겠죠?[*압전장치 : 압력을 받으면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와트 : 전력의 단위. 형광등을 켜기 위해선 5~30W의 전력이 필요하다.]하지만 아직은 페이브젠에서 만든 블록의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문제예요. 1㎡ 넓이의 땅에 페이브젠을 깔기 위해 200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들거든요.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클수록 강한 전류가 흘러 전구가 더 밝게 빛난답니다.전위차는 ‘볼트(volt)’라는 단위로 그 크기를 나타내요. 트는 V로 표시하지요. 전지를 보면 1.2V, 1.5V, 9V 등 다양한 숫자가 적혀 있어요. 볼트가 높은 전지일수록 전구를 더 밝게 밝힐 수 있답니다.전자는 정해진 통로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어요.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들여 10진법으로 환산해 보니 1249라는 숫자였다.‘곰이라는 거야 뭐야?’대관절 무슨 단위를 쓰는 건지는 알 수 없었지만 킬로그램이 아닌 것은 분명했다.외할머니의 죽음이 기억에서 사라질 때쯤 그 이상한 체중계 또한 은경의 관심에서 사라져버렸다. 그래도 이삼 일에 한 번씩은 그 위에 올라설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개념을 만들어냈어요. A, T, G, C 네 가지 블록을 다양하게 조립해 바이오브릭이라는 단위를 만든 거예요. 바이오브릭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의 조각을 뜻해요. ‘모듈’이나 ‘부품’이라고 불리기도 하죠.앞서 블록 장난감의 인기 비결이 ‘표준화’라고 했죠? 바이오브릭도 이런 특징을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