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SA"(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프랑스 파리 천문대 산하 우주연구 및 천체 물리 계측 연구소(LESI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근처를 ...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신성(nova)’으로 알려졌으나 이후에 신성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의 천문학자들은 백조자리 V404 주위를 6.5일 주기로 공전하는 별이 있는데, 블랙홀이 이 별의 가스를 빨아들이며 X선을 내뿜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기술 전문 온라인 매체인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들은 2003년부터 실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다양한 실험을 하는 데 쓰이고 있다(사진➌). NASA는 덩치가 큰 인공위성의 대안으로 작은 위성들을 그룹으로 묶어 임무를 분업화시키는 새로운 개념을 현재도 계속 실험하고 있다.논란의 광검과 레이저 무기, 가능하다?스타워즈 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NASA에서 전담했다. 하지만 지금은 대중의 집단지성을 이용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NASA 에임즈연구소에서 만든 스페이스워드 바운드(SpaceWard Bound)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외계지적생명체 탐사 연구를 주도하는 미국 SETI 연구소, 호주화성협회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이 프로그램은 우주생물학에 ...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체의 미생물 구성은 면역 기능 등 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NASA는 “유인 화성 탐사를 위해서도 이번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진짜 우주 사진은 A, D, E 3장이다. A는 아벨 1689 은하단, B는 박테리아와 효모 그리고 곰팡이, C는 박테리아와 버섯류 균종, D는 M27 아령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레스의 표면을 관찰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에요. 지난 달에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돈(Dawn)’ 탐사선에서 찍은 세레스 표면 사진을 공개한 적이 있었답니다. 하지만 세레스와 탐사선 사이의 거리가 멀어 빛나는 부분이 흐릿하게 보였어요.그러던 중 지난 5월 9일, 돈 탐사선은 세레스를 더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초콜릿이나 사탕, 크래커, 파스타를 찍어내는 데 성공했다.지난 2013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3D프린터용 요리개발업체인 SMRC와 함께 우주비행사를 위한 피자를 인쇄했다. 프린터 노즐을 달팽이 모양으로 돌리면서 밀가루 반죽을 편평하고 둥글게 쌓는다. 그 위에 같은 방법으로 토마토 소스를 얹고, ...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JPL)는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개념 혜성 탐사로봇 ‘헤지호그’의 모습을 9월 3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헤지호그는 우리 말로 ‘고슴도치’란 뜻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헤지호그는 실제로 모서리 여덟 군데에 본체를 보호하는 스파이크가 달려 있어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아마존, 알프스 산 맥 같은 지구의 오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하던 방법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이 방법을 심우주통신에 적용하기 위해 2008년 인공위성 실험을 시작한 뒤 현재까지 연구 중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탐사선을 달 궤도에 보내 지연허용망을 시험할 계획이다.5년 내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키우려면 흙 1m3당 물 40L가 필요하다. 즉, 밭 전체를 충분히 적시려면 물 368L가 필요하다. NASA는 비상 식수를 대원 1인당 50L로 계산해 물 300L를 화성에 보냈다. 와트니는50L만 남기고 물을 모두 농사에 쓰기로 했다. 물 250L는 10cm 깊이의 흙 62.5m2를 적실 수 있는 양이다. 즉, 막사의 23를 밭으로 만들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