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허드렛일 하는 로봇,
NASA
최고의 발명품 뽑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R2에 맞는 다리 개발을 완료했기 때문이다. 다리는 7개의 관절로 이뤄졌고 길이가 2.5m다.
NASA
존슨우주센터 론 디프틀러 박사는 “R2에 두 다리를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우주유영 등 여러 가지 위험하고 힘든 일을 R2가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주에선 노화 느려질까? 꼬마선충 직접 실험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설정이 자주 등장한다.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지 실험이 시작됐다.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예쁜꼬마선충의 우주 노화 실험을 지난 4월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 세포생물실험연구실(CBEF)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5월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2개월 동안 선충을 키우면서 지구와는 다른 유전자 변이가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너머로 챔버를 지켜보며 설명을 들을 수밖에 없었어요. 한주희 기자는 “언젠가 꼭
NASA
같은 우주 전문 기관에 들어가 이런 과정을 직접 해 보고 싶다”고 아쉬움을 털어놨답니다.연구동과 대형광학가공동 탐방을 마친 이용현 기자는 “미국이나 유럽에서만 만드는 줄 알았던 반사경을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대회 다음날인 7일, 다르파는 대회 결과를 공유하는 워크숍을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서
NASA
측은 “화성 탐사 환경을 가정하고 DRC보다 훨씬 더 어려운 임무로 구성된 새로운 로봇 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휴보팀 관계자는 “아직 확정한 것은 아니지만 출전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일본에서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건 무려 지상 4만km 높이에서 지표면에 있는 토끼 한 마리까지 볼 수 있는 성능이에요.
NASA
와 콜로레도대 연구팀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아라고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아라고가 완성되면 허블이나 제임스 웹이 보지 못한 우주를 볼 수 있을 거예요. 나도 얼른 지상과 우주의 다양한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최근 해외 연구진이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블랙홀을 찾아 화제가 됐어요. 중국 베이징대학교 쉐빙 우 교수팀은 강력한 에너지를 내는 천체, 퀘이사 ‘SDSS J0100+2802’를 관측했어요. 지상에 있는 망원경과 적외선 탐사위성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 알아냈지요. SDSS J0100+2802는 물고기자리와 안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탐사선 메신저호가 11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수성과 충돌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메신저호가 4월 30일 시속 1만4081km 속도로 수성과 충돌해 운명을 다했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2004년 발사된 메신저호는 7년 간 복잡한 여정을 거쳐 2011년 우주선 가운데 처음으로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태양계 ... ...
페르시아만 산호의 생존 비결은 ‘조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최근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 요르그 비덴만 교수팀은 페르시아만 산호가 36℃나 되는 수온을 견디는 이유가 새로운 종의 조류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산호는 조류와 공생하는 생물이에요. 산호는 조류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그 대가로 조류가 만들어 내는 영양분을 얻지요.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공동연구진이 엔셀라두스의 정확한 분출 과정을 시간대별로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보내온 엔셀라두스의 사진 자료를 이용해 엔셀라두스의 분출 활동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기존에 제트기류와 유사할 것으로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를 나노플레어라고 한다). 작년 ‘사이언스’ 논문 은 이런 현상들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태양관 측선 이리스 호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태양 외곽에서 온도의 역전층이 나타난 다는 사실 등,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관측 결과도 담고 있다.태양은 가장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