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의 예측과 이에 따른 예방 5년이내 가능할 듯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누가 암에 취약하며, 그 암이 양성(良性)인지 악성인지 미리 판별할 수 있게 될 듯.지난 수년간 연구자들은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데 있어 일부 유전자의 변화가 있을 ... 가족이 페암에 걸렸던 적이 있다면 다른 암에 걸릴 가능성도 보통 사람의 2~3배나 된다"고 민나
박사
는 말한다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없다. 오로지 1위만 생존할 수 있는 비정한 승부의 세계인 것이다.어쨌든 삼성전자의 진
박사
는 예정대로 일본학회에서 '피크 큐런트노이즈를 줄인 실험적인 16메가D램'이란 제목으로 16절지 3장정도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내용만으로 16메가D램 개발의 진위를 판단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일본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출범을 앞둔 과학원에 잡음이 없을 것이다. 사실 미국 유럽의 경우 같은 대학에서 석·
박사
과정 입학시험을 치루는 예가 없다. 학부의 자질을 인정받아 진학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앞으로 우리도 이런 방식을 따라가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입학시험을 치루는데 쓸데없는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심사원들이 통과여부를 놓고 비밀투표를 할 것이다. 여기서 통과되어야 그는 과학
박사
(Doctor of Science)학위를 받게 된다.대학의 학장은 교수들의 추전을 받아 선출되는데 최종적으로 문교부로부터 임명을 받는다. 부카레스트공대 교수들은 주로 외국에서 학위를 받은 사람들이었다. 교수의 ... ...
떨어져나간 팔을 재결합시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완성하려면 떨어져 나간 환자의 신체부위를 잘 보관하는 게 급선무였다. 그래서 잠브라노
박사
는 그것을 환자의 가슴에 임시로 이식, 장기간 보존하였다. 말하자면 한달 이상이나 살아있는 채로 보존했다가 이식에 사용한 것이다.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쿠엘라씨의 손과 팔은 예전처럼 움직일 수 있게 ... ...
「디스커버리」호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결정(結晶)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등장한다면 고혈압환자들에게는 커다란 희소식이 될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그러나 버그
박사
를 포함, 어느누구도 이런 '선물'들이 가까운 장래에 우리 앞에 펼쳐질 수 있을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무중력하의 결정체가 앞으로 많은 수수께끼를 푸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믿고 있다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있다.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있는 NASA의 에임즈생물의학연구부장 '해롤드 샌들러'
박사
는 나타나기 시작한 변화를 이렇게 지적했다."일렉트로닉스 기술은 다음 세대를 육체적으로 점점 수동적이 되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들에게 텔레비전을 보게 하거나 텔레비게임을 하게 하거나 ... ...
콜레스테롤과 암과의 관계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반박했다.미국의 국립과학아카데미와 WHO에서도 반론을 펴고 있다. 그러나 '아일'
박사
는 조사대상의 선정에 과오가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 맥주의 발암성에 대해서는 1주일에 7파인트(약 0.5ℓ들이)이상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3배의 췌장암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는 '제국암연구기금 ... ...
에너지혁명인가 「해프닝」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중성자를 계측한 결과, 핵융합의 확증은 얻을 수 없었다고 정정했다.'칼텍'의 '쿠닌'
박사
는 "핵융합이 일어났다면 반드시 방사선이 검출됐어야 하는데 우리들의 누구도 자연수준 이상의 방사선을 검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칼텍'의 연구자들은 "유타 그룹이 그들의 연구결과를 얻는 과정에서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우주의 시초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해 단서를 얻기를 바라는 것이다.'레온 레더만'
박사
는 "이 거대가속기는 현대 물리학이 가야할 논리적인 다음 단계이며 우리가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테스트하는 가장 치밀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보다 실용성 있는 연구에 지장준다는 비판도S.S.C와 ... ...
이전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