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에러를 제로로 만들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보스턴 시립병원의 엘리자베드 브라운
박사
는 반론한다. "우리는 물리적인 장해를 제로로 만들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브라운은 많은 미숙아가 생물학적으로는 완전하나 자궁속의 '물리적 문제' 때문에 조사한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중대한 ... ...
초음파로 백내장의 핵을 부순다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따라서 상처를 적게 낸 상태이므로 쉽게 아물고 부작용도 적은 것이다”라고 이상욱
박사
는 말한다.유화흡인술 수술과정. 우선 흰자와 검은자의 경계를 절개하여 그 사이로 초음파를 때려, 백내장의 핵을 부셔서 빻아낸다. 이어 동공의 각막을 4mm 가량 더 절개하고 여기에 인공수정체를 삽입시킨다. ... ...
17살의 수학 천재 로렌스양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안된 로렌스양은 6년전에 옥스포드에 수석으로 합격했고 13살때 졸업 했으며 지금은
박사
학위를 준비하고 있다. 하버드대학과 버클리, 프린스턴등에서는 그녀에게 “우리대학으로와서 연구를 계속하고 틈틈히 학생을 지도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로렌스’양은 특히 양자론과 우주의 ... ...
고압의 물로 쇠를 동강낸다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점이 그 첫째이고 고압이니만큼 안전에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는 점이 두번째다.안영재
박사
는 물칼제작상의 어려움을 이렇게 설명했다.“4천기압의 고압발생장치를 만드는 작업은 매우 힘들었다. 또 사파이어를 재료로 사용하는 노즐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특히 관(管)모양을 만드는데 애를 ... ...
의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뛰어난 직관이 왜 나이들수록 희미해지는 것일까?)그보다 나이가 좀 더 들자 슈바이처
박사
를 존경하고, 노벨의학상을 받는 사람이 되겠다고 했다. 드디어 의과대학에 들어와서는 여름에는 농촌의료봉사, 학기중에는 판자촌의 주말진료소에서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되려고 열심히 노력했다.막상 ... ...
오존감소·수질오염, 먹이사슬 약화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광합성 능력이 정상수준의 8분의 1까지 놀라울 정도로 떨어졌다. ‘캐롤 스티픈즈’
박사
의 조사에 따르면 자외선에 대한 감응은 특히 ‘나노 플랑크톤’(2~20미크론 크기의 단세포 식물)과 ‘피코 플랑크톤’이 민감한데 이 두가지는 남극해역 플랑크톤의 90%를 차지하며 크릴의 먹이가 된다. 아직 ... ...
개척분야에서 뛰고픈 욕망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비행기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섰다. 우리나라 최초의 항공공학
박사
인 장극
박사
가 설계한 한국형 경비행기의 설계가 끝난 것이다. 그러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비록 아기가 처음으로 한 걸음을 옮겨 놓은 상태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항공사는 지금부터 시작인 것이다.우리 항공산업의 미래가 ... ...
경제성 있는 고온 초전도체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영향을 미친다.우주기술에도 고온초전도체를 응용하려는 시도는 매우 다양하다. 피터
박사
는 "일정 온도에서 전기저항이 갑자기 없어지는 초전도현상은 태양에너지를 초전도자석에 저장하는데 기본적으로 활용되며, 초전도하에서의 자기흐름은 불연속적으로 변하므로 자력계 스위치 등 정밀 ... ...
군축회담을 계기로 다시 살펴본 화학무기의 무시무시한 위력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총 사상자가 1백10여만명에 달하였다.최초의 신경작용제는 독일의 과학자 쉬레더(Schräder)
박사
가 개발했다. 그는 유기불소화합물이 살충능력을 갖고 있나를 연구한 끝에 1936년말에 이를 확안하였다. 또 이 중에서 타분(Tabun)은 포유동물에도 독성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의 연구결과는 곧 ... ...
식물들의 겨울지내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동사(凍死)는 주로 원형질이 많은 물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일어난다. 몰리스히(Molisch)
박사
는 현미경으로 세포간격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직접 관찰하였다. 또 세포에서 물이 빠져나와서 얼음이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그는 식물의 동사(凍死)는 탈수(脫水)에 의한 건조사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