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친다면 원래 있던 이름만 지워진다.미국 사람들은 디스켓을 공책이나 책으로 생각하는
모양
인지 이를 볼륨명칭이라고 한다. 볼륨이란 책 또는 권을 의미하는 것인데 여기서 VOL이라는 명령어가 나온다. VOL명령어는 VOLume에서 나온 것으로 단지 디스크의 명칭을 보여주기만 하는 단순한 명령어다. DIR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D, 초점거리는 f로 한다. 반사망원경의 그림을 보면 경통의 입구 근처에 3, 4개의 방사
모양
의 막대기가 붙은 작은 부품이 있다. 그 부품에는 45º로 기울어진 작은 평면거울이 붙어 있다. 이 평면거울을 '사경'이라 한다.이와 같은 45º의 사경을 사용하여 빛을 직각으로 꺽어 경통의 옆쪽에서 관측하는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회전법으로 이를 닦기에 아직 미숙한 나이다. 그러므로 미취학 어린이들에게는 머리
모양
이 약간 둥글고 크기가 작은 칫솔이 권장된다. 어린이들이 아래 윗니를 지긋이 다물고, 계속되는 원을 그리면서 치열의 바깥쪽을 닦도록 잘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치아의 씹는 면은 칫솔을 앞뒤로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실용화 단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지역제어기는 교차로 주변에 설치된 금속 캐비닛
모양
의 장치다. 여러개의 검지기로부터 관측된 교통정보를 중앙컴퓨터로 전송하며, 역으로 중앙컴퓨터에서 지시한 신호시간 계획에 따라 신호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기능을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무관한 것이다. 보통의 나선은하는 중심부에 핵이 있고 나선팔이 양쪽에서 휘감고 있는
모양
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은하핵을 중심으로 빗장을 가로지른 듯한 모습을 가진 막대 나선은하들도 많이 관측되고 있다. 타원은하는 이름 그대로 별들이 타원형으로 모인 은하다.미국의 천문학자 허블(Hubble)은 ... ...
(1)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2벌식과 3벌식 자판 모두를 지원하며 한글과 영문의 커서
모양
이 달라 입력상태를 구별하기 쉽다.4메가 마스크 롬을 사용하여 한글과 영문 각각 아홉가지의 폰트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폰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영문 소프트웨어에서 박스무늬에 많이 사용되는 1바이트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아니라 임시로 (약4천만년 지속됐지만)지구자장의 양극성을 안정시켰다고 가정했다. 버섯
모양
으로 솟아나오는 초대형 용암기둥들은 액체외핵의 움직임 속도에 따라 더 많이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구다이나모의 힘에 변화를 줄 수 있다.생명체들이 붙어서 살고있는 지표라는 깨지기 쉬운 층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구분하면 틀림없다. 나비의 더듬이는 끝이 곤봉처럼 굵고 나방의 더듬이는 실 빗살 깃털
모양
을 하고 있다. 이밖에 나비는 낮에 활동하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큰 데 비해 나방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등불을 잘 찾아 들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나비는 인간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존재한다고 알려왔다. 이를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결정적인 증거는 크고 얼룩덜룩한
모양
의 아르테미스라는 이름의 지판인데 이 지판은 '아프로디테 테라'라는 적도 부근의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아르테미스는 새롭게 고체덩어리로 형성된 부분인지도 모른다. 아르테미스 옆엔 도랑들이 있는데 이 ... ...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유전자를 잘라낸다. 그리고 이 유전자를 플라스미드(plasmid, 대장균 등에 있는 고리
모양
의 DNA)에 끼어 넣어 재조합한 뒤 이것을 대장균(E. coli)에 집어넣으면 된다. 이제 남은 일은 기다리는 것뿐인데 대장균은 엄청난 속도로 증식되므로(하루에 2천조개로 증식) 오래 기다릴 필요도 없다. 이로써 사람의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