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어디에서나 존재하는 연속체(continuum)이고, 입자적인 측면에서 보면 불연속적인 '알맹이
모양
의' 구조를 지닌다. 겉으로 보기에 모순되는 두개념은 결국 동일한 실체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하나의 실체에 지나지 않는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정반대되는 두 개념은 언제나 역동적인 방법으로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표현에 의하면, 약품 따위를 넣어 썩지 않도록 한 시체나 묘의 자연적 조건에 의해 본
모양
그대로 남아있는 송장을 의미한다. 영어권에서는 미이라 대신 머미(mummy)를 쓴다. 그러나 이 단어 자체도 영어가 아니라 아랍이나 페르시아의 'mumiya'란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래의 뜻은 역청(瀝靑)을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생각하는 것이 더 그럴듯하지 않을까 싶다. 고래자리는 머리 위에 높이 떠있는 사각형
모양
의 페가수스와 동쪽 지평선 위에 막 떠오르기 시작한 장고별 오리온의 사이에서 찾을 수 있다.고래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τ(타우)별은 지구에서 18번째로 가까운 별로 12광년의 거리에 있다. 이 별은 태양과 ... ...
임산부 흡연 「밀실 살인」행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없이 산소와 영양분이 태아에게 공급되고 있지만 흡연 임산부는 혈관 내피의 세로
모양
이 일그러져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한두 개비의 담배를 흡연하는 것만으로도 태아에게는 40배 이상 영향을 미친다. 어떤 곳으로도 도망갈 데가 없는 태반속에서 태아는 강제로 담배 연기를 마셔야만 한다. ... ...
아라크네의 자식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건드리면 거미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줄에 매달린 채 수직으로 낙하한다.둥근
모양
을 한 거미종류는 많다.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거미는 날개의 느슨한 비늘들을 벗어버림으로써 다른 거미집에서는 곧잘 탈출하는 나방을 붙잡는 거미다. 이 거미의 수평을 이루는 거미줄은 아래로 처진 실부분에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음식물은 포장되어 있으며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식사 그릇에서 음식을 들어누워 먹는
모양
이 될 것이다. 음식의 조미료로 소금이나 후추를 치는 일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소금을 칠 경우 그 소금은 공중으로 사방에 퍼져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우주에서 세수나 면도 또는 대소변은 어떻게 할까. ... ...
한국의 곤충⑪ 대벌레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먹고 살며 불완전탈바꿈을 하는 사마귀나 메뚜기에 가까운 무리다. 알은 식물의 씨앗
모양
이며 6회에 걸쳐 탈피해 어른벌레가 되는데, 애벌레 시절 다리가 잘려나가도 재생(再生)하는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 ...
카나리아군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일반적으로 화산폭발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가장 가벼운 용암물질이 표면에서 비누거품
모양
으로 부글부글 소용돌이친 후 고결(固結, 뭉치어 굳어짐)된다. 이러한 과정중 용암물질 내부에 있던 공기가 다 빠져나가지 못한 상태에서 고결되면 기공이 생겨 부석(浮石)이라고 하는 물에 뜨는 암석물질이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그러나 며느리밥풀 가문비나무 동자꽃 등 재미있는 얘기가 숨어 있는 식물의 이름과
모양
은 확실히 기억됐습니다. 따라서 식물명을 지을 때 좀더 신경을 쓰고 식물명에 얽힌 사연을 모아놓은 서적이나 식물도감이 출간되었으면 해요.이태호…제 학교나 고향 주변에도 많은 식물들이 분포하고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그러나 현대의 천문학자들에게 더욱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은 이 별자리에 있는 고리
모양
의 성운이다. NGC 7293은 아마 가장 크고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일 것이다. 이 눈부신 가스의 거품들은 별의 종말시기에 그 껍질에서 분출되었을 것이다. NGC 7293 까지의 거리는 대략 1백광년이고 이 대상은 달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