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래서 연구자들은 연구 목적에 따라서 둘 중 더 적합한 방식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측정한 뇌 신호를 컴퓨터나 기계에 연결하는 기술을 ‘뇌-컴퓨터 접속(BCI·Brain Computer Interface)’ 또는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기술이라고 부릅니다. 뇌 신호를 기계에 연결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양자역학’을 제안했어. 양자의 가장 큰 특징은 질량, 속도 같은 물리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고, ‘양자가 A에 있을 확률은 50%, B에 있을 확률은 30%’처럼 확률로만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야. 즉, 어디에도 있을 수 있고 어디에도 없을 수 있다는 뜻이지.상상하기 힘들지? 그래서 나 ‘슈뢰딩거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버팔로에 대한 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단다. 용어정리*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 방사성 탄소는 5730년을 주기로 절반씩 줄어들기 때문에 일정량의방사성 탄소가 줄어들기까지 얼마나 걸렸는지 계산하여 나이를 역으로 알아내는 방법이다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죽에 풀을 채운 신발을 신고 있었죠. 결정적으로 사체와 유물로 방사성탄소 연대를 측정한 결과, 이 등산객이 눈에 파묻힌 시점은 기원전 3300 년으로 드러났어요. 이 사람이 바로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면서 온전하게 보존된 ‘냉동인간 외치’입니다. 냉동인간이 발견된 외츠탈 계곡과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편도를 추출한 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 ...
- [과학뉴스]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공명 상태를 통해 바깥으로 나오는데, 이 전류를 관측하기 위해서다. 수 ps 주기로 측정된 전자의 전류 신호에 대한 파동함수를 계산한 결과 전자가 최대 250GHz의 진동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심흥선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역학 상태를 제어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했다”며 “초정밀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유지합니다. 다리 관절로는 보정할 수 없는 수준의 큰 이상 신호가 측정되면 허리를 굽히거나 젖혀야 합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다면 팔을 휘젓고 뒤로 움직이면서 균형을 잃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보정 기능이 들어간 로보트 재권V라면 이제 어디든 출동해도 마음이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데이터도 새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교통 빅데이터를 학습하도록 하면 실제로 측정하지 않은 도로 구간의 데이터를 예측해 스스로 문제 를 해결하게 할 수 있다. 교통 경찰이 하던 일을 교통 시스템이 직접 하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데이터를 보고 패턴을 찾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 ...
- [교육뉴스] 수학 실력에 성별 차이 없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보게 했습니다. 그리고 수학 지식을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뇌 신경망의 발달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성별이나 나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습니다. 캔턴 교수는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여자 아이 혹은 어린 여성은 수학과 먼 존재라고 받아들여져 왔다”며, “이런 인식이 성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초, 분 같은 개념과는 다른데, 컴퓨터가 문제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물리적으로 측정하면 어떤 컴퓨터,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썼는지에 따라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고리듬에서의 시간은 알고리듬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연산 횟수를 ‘함수’로 나타냅니다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