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유지합니다. 다리 관절로는 보정할 수 없는 수준의 큰 이상 신호가 측정되면 허리를 굽히거나 젖혀야 합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다면 팔을 휘젓고 뒤로 움직이면서 균형을 잃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보정 기능이 들어간 로보트 재권V라면 이제 어디든 출동해도 마음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래서 연구자들은 연구 목적에 따라서 둘 중 더 적합한 방식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측정한 뇌 신호를 컴퓨터나 기계에 연결하는 기술을 ‘뇌-컴퓨터 접속(BCI·Brain Computer Interface)’ 또는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기술이라고 부릅니다. 뇌 신호를 기계에 연결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
- [교육뉴스] 수학 실력에 성별 차이 없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보게 했습니다. 그리고 수학 지식을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뇌 신경망의 발달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성별이나 나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습니다. 캔턴 교수는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여자 아이 혹은 어린 여성은 수학과 먼 존재라고 받아들여져 왔다”며, “이런 인식이 성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 ...
- 두려움에 맞서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줘도 공포 반응이 줄었지요.연구팀은 쥐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뇌의 신경세포 활동을 측정해 안구 운동이 공포 반응을 줄이는 이유를 찾았어요. 쥐의 눈에 빛이 들어와 시각적인 자극을 받으면 안구 운동 및 주의집중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상구’가 활성화되며 공포 반응을 담당하는 편도체를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GPS는 오차가 약 30m일 정도로 정밀해요. 해안 경비대 등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이 필요한 곳에서는 GPS 수신기를 하나 더 사용하여 오차를 1m까지 줄인 ‘DGPS’ 같은 기술도 쓰인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이 점점 바뀌고 잇다?! 나침반의 N극은 어디를 가리킬까요? N극의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개에 이르는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대부분도 전후, 좌우, 상하 여섯 방향에서 촬영하고 측정해 제작한 도면이 있었다. 이를 이용하면 컴퓨터그래픽(CG) 기술로 골격의 3차원(3D)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터였다. 진짜 데이노케이루스의 모습 그대로 말이다. 2018년 말부터 복원을 준비하던 중,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양자 정보, 즉 큐비트는 0이나 1중 어느 하나로 확정되지 않은 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측정하기 전까지는 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양자 중첩의 특성 때문입니다. 또 양자는 얽힘(둘 이상의 양자가 마치 끈으로 연결된 것처럼 서로 상태가 연결된 현상)이라는 독특한 특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영국 랭커스터대와 옥스퍼드대 등 공동연구팀이 외부 자극이 없어도 진동할 수 있는 나노 전자회로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 ... 데 의의가 있다”며 “작은 힘을 증폭시켜야 하는 현미경이나 양자유체의 점성 등을 측정할 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019-0683-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리튬이온전지를 생산하는 많은 회사들이 그의 시험법을 기반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측정하고 있다. 가볍고 작아도 효율높은유일한 원소, 리튬 좋은 전지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해야 하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친환경적이고, 가격도 저렴해야 한다. 리튬이온전지는 기존의 전지와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자연스럽게 악수도 할 수 있게 됩니다. 힘(F)을 알면 로봇의 질량(m)은 이미 저울로 측정해서 알고 있으니까 로봇이 움직이는 가속도(a)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를 적분하면 속도가 나오고 속도를 적분하면 위치가 나오니 로봇의 움직임에 관해서는 모두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