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작한 것 같았다.“이게 냉동실험실의 평균온도에요. 여기서 우리 연구팀은 관찰하고 측정하고 연구하죠.” 냉동실험실 안으로 들어서자마자 오들오들 떠는 기자와 달리 허 책임연구원은 느긋하게 설명을 이어갔다. 이곳은 남극의 빙하코어가 보관된 극지연구소 빙하코어 냉동실험실이다. 과거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며 “불순물 때문에 생기는 플라스마의 색 감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해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고 말했다. 반도체 개발에 유용한 플라스마 기술은 환경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쓰레기를 태우면 질소산화물과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작아진 입자들이 우리 머리 위로 떨어지게 됩니다. 가이거-뮐러 튜브는 이 입자들을 모두 측정하는 기계예요. 보세요, 지금도 아르고스의 튜브들이 반짝반짝하고 빛나고 있죠?하지만 튜브가 반짝할 때마다 아르고스가 신호를 보내는 건 아니에요. 아르고스는 수많은 입자 중에서 ‘뮤온’이라는 ...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리고 2단 고체 킥모터 개발, 노즈페어링 개발, 탑재용 항법제어시스템 개발, 원격측정시스템 개발, 지상장비 제작 및 조립, 발사장 인프라 구조물 구축 등은 우리 업무로 가져왔다. 또 기술자료 분석, 제작·시험과정 모니터링을 통해 핵심기술을 습득할 권리를 한국이 갖는 것으로 규정했다 ... ...
- [맛있는 수학] 철판 아이스크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다변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3개 이상의 고차원 변수들 사이의 상호의존도를 측정했습니다. 변수 자체의 값뿐만 아니라 변수들끼리의 상호 거리도 계산했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상관계수를 구할 때는 무시되는 관계까지 잡아낼 수 있게 된 겁니다. 실링 교수와 함께 논문을 쓴 마틴 러셀 ... ...
- [오일러 프로젝트] 미션! 끈으로 피타고라스 삼각형을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미션을 던졌다. 과연 학생들은 미션을 완수할 수 있을까? “2300년 전에는 직각을 어떻게 측정했을까?” 오일러는 끈으로 이리저리 삼각형을 만들기 시작한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그도 그럴 것이 자나 각도기가 없었던 고대 이집트시대에 세워진 피라미드 같은 건축물에 자로 잰 듯 반듯한 ...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10월 중순이 되면 겨울잠에 들기 때문에 그 전에 개구리들의 건강상태와 크기를 측정해야 한다. ▲ 올해 8월에 방사된 금개구리 준성체들. 낮에는 금개구리들이 천적을 피해 물속이나 수생식물 사이에 숨어지낸다. 겨울잠 자기 전 생존율 10%, ‘신검’ 필수금개구리를 만난다는 설렘을 안고 이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해하고 있는 빅뱅 우주론에 커다란 충격을 줄 것이다. 더 정밀한 중성자의 평균수명 측정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박인규 프랑스 파리-수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입자와 전산물리에 대한 주제를 연구 중이며, 최근에는 한국물리학회 제28대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ㄴ’자 모양으로 잇는 라이고 검출기는 팔 하나의 길이가 4km에 이르는 거대한 측정 장치다. 올해 과학계 최대 이슈로 꼽히는 블랙홀의 그림자 관측은 이런 흐름에서 물리학상 수상이 조심스럽게 점쳐졌다. 결과 발표 5개월만인 9월 ‘실리콘밸리 노벨상’으로 불리는 ‘브레이크스루상(Breakthrough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자연스럽게 악수도 할 수 있게 됩니다. 힘(F)을 알면 로봇의 질량(m)은 이미 저울로 측정해서 알고 있으니까 로봇이 움직이는 가속도(a)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를 적분하면 속도가 나오고 속도를 적분하면 위치가 나오니 로봇의 움직임에 관해서는 모두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