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자동차, 환경을 지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절반밖에 안 된답니다.전기자동차의 심장, 배터리자동차와 배터리 모두 발명된 지 100년이 지났는데, 왜 지금에서야 배터리로 가는 전기자동차가 개발된 걸까요?가장 큰 문제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의 크기였어요. 큰 물통에 많은 양의 물이 들어가듯, 배터리가 크면 많은 양의 전기를 담을 수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가장 깊은 블루홀’, ‘드래곤홀’이라는 별명이 붙었지요.산샤시 연구팀은 작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수중탐사로봇을 이용해 블루홀의 깊이와, 그 안에 서식하는 생물들까지 조사했어요. 그 결과 블루홀의 깊이는 300.89m로, 지금까지 가장 깊다고 밝혀진 바하마제도의 ‘딘즈 블루홀’보다 100m ...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갖고 있어요. 멸종 위기에 처한 중국 양쯔강 돌고래와 같은 종으로 분류되지요.그런데 2015년 고래연구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상괭이도 양쯔강 돌고래처럼 앞으로 찾아보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해요. 2005년 3만 6000여 마리였던 상괭이가 2011년 조사에서 약 70% 가까이 줄어든 걸로 나타났기 ...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색도 알록달록하게 바뀐답니다.헤드 센서, 가장 역동적인 태권도를 만들다!태권도는 2009년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입는 호구에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넣은 전자 채점 장비를 도입했어요. 상대가 공격을 하면 닿았는지 아닌지는 물론 어떤 강도로 공격을 했는지 알 수 있는 장비지요. 하지만 가장 ... ...
- Part 1. 단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받고 있답니다.서해안과 남해안에서는 심심찮게 상괭이의 사체가 발견되곤 해요. 2011년에는 1012마리, 2012년 2279마리 등 죽은 상괭이가 꾸준히 발견된 거예요. 이들은 대부분 우연히 그물에 걸리거나 길을 잃고 해안가로 떠밀려온 것들로, 유통증명서를 받으면 식용으로 판매할 수 있지요. 하지만 ...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펴낼 계획이랍니다. 상괭이를 살리는 ‘상괭이 병원’부산 아쿠아리움에서는 2011년부터 다친 상괭이를 치료하는 ‘상괭이 병원’을 운영하고 있어요. 2011년 누리와 마루, 2013년 바다와 동백, 2014년 오월이까지 모두 5마리의 상괭이가 상괭이 병원을 거쳐 바다로 돌아갔어요.다섯 마리의 상괭이 중 네 .. ...
- [과학뉴스] 태양빛으로 세계일주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015년 3월 9일, 스위스의 공학자 앙드레 보쉬베르와 조종사 베르트랑 피카르는 거대한 도전을 시작했어요. 직접 만든 태양광 비행기 ‘솔라 임펄스 2호’로 석유나 가스 같은 화석연료를 한 방울도 쓰지 않고 세계 일주를 하는 것이었지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를 떠난 솔라 임펄스 2호는 1년 4개월에 ...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30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1.5MB(메가바이트) 크기의 정보를 담기 위해 손바닥만 한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했어요. 지금은 손톱 크기의 칩에 플로피 디스크 용량의 수만 배나 되는 정보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요.그런데 최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샌더 오뜨 박사팀이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소리를 0.1초나 늦게 듣게 되기 때문에 공평하지 않았지요.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2010년 밴쿠버올림픽부터는 디지털 스타팅 건을 사용하고 있어요. 스타팅 건을 누르면 각각의 선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로 출발을 알리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이 공평하게 출발 신호를 들을 수 있지요. ... ...
- Part 3.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그리고 상괭이 수가 줄어든 주요 원인으로 ‘혼획’을 꼽았답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혼획되거나 그물에 걸렸다가 해안가로 떠밀려온 상괭이가 한해 평균 1000마리 이상이었거든요.혼획은 특정 어류를 잡기 위해 친 그물에 엉뚱한 종이 걸리는 것을 뜻해요. 물고기를 잡을 때 쓰는 그물은 다른 ... ...
이전7337347357367377387397407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