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심판, 왜 오심을 하는 걸까?2008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테니스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를 ...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캐릭터를 움직이며 배우는 코딩마인크래프트는 스웨덴 게임사 ‘모장’이 2011년에 내놓은 어드벤처 게임이에요. 정육면체 모양의 블록을 쌓거나 부수면서, 게임 세계 안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만들고 움직일 수 있어요. 원한다면 거대한 도시를 건설하거나, 심지어 게임 안에 컴퓨터를 만들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가장 최근 공개된 중력장 지도를 만든 인공위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2002년 우주로 쏘아올린 ‘그레이스(GRACE)’와 ‘챔프(CHAMP)’라는 쌍둥이 위성이에요. 두 위성은 고도 450km 상공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아요. 그러다 지구의 중력이 달라지는 지역을 지나면 두 위성이 멀어지거나 ... ...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야생늑대는 어떻게 지금의 개가 되었을까요?늑대의 일부가 개로 분리된 것은 약 8만~13만 년 전으로 추측되고 있어요. 늑대는 무리지어 사는 동물이에요. 그런데 여러 가지 이유로 사냥감이 줄어들면서 무리 내에서 먹이 경쟁이 심해졌고, 결국 상대적으로 힘이 약하고 성격이 온순한 일부가 경쟁에서 ...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의 반전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2007년에 발견된 공룡 뼈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공룡이 약 9000만 년 전에 살았으며 몸무게는 450kg, 몸길이는 6~7m 정도 되는 육식공룡일 거라고 분석했답니다.이 공룡에겐 ‘구알리초 신예(Gualicho shinyae)’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화석이 발견된 지역의 원주민들이 믿는 신인 ... ...
- Part 1. 주노는 왜 목성으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거대한 크기 덕분에 관찰이 쉬웠어. 목성에 있는 줄무늬를 관찰했다는 기록이 약 400년 전부터 존재했을 정도지. 하지만 목성은 겉모습 이외엔 밝혀진 것이 별로 없는 수수께끼 행성이기도 해. 그 수수께끼를 풀러 주노가 목성으로 간 거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목성을 비밀을 ... ...
- Intro. 강아지 번식공장 OUT I♥반려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Intro. 강아지 번식공장 OUT I♥반려견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Part 4.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Part 5. 반려견, 사지 말고 입양하자 ... ...
- 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휴가철인 8월에 유기견의 수가 많이 늘어난대.반려견 100만 마리 시대!반려견의 수는 매년 늘고 있어요. 2015년 말 기준으로 *반려동물등록제에 약 98만 마리의 반려견이 등록되었어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반려견 수는 등록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500~600만 마리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 ...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마구잡이로 생겨나면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지요.지난 2015년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신고된 동물 번식장은 187곳이에요. 하지만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신고 없이 운영되고 있는 번식장까지 합하면 총 3000여 곳이 넘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심지어 합법적으로 신고를 한 일부 ...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앙리 바이머스키어 박사팀은 50여 마리의큰군함조에 초경량 위치추적장치를 달아 2년 동안 비행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하루에 약 400km 이상비행을 하며 두 달 동안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또한 여섯 달 동안 네 번만 쉬고 5만 6000km를 비행하기도 했답니다. 지구 한 ... ...
이전7347357367377387397407417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