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용의자의 거짓말을 알아차립니다. 라이트만의 모델로 알려진 폴 에크먼 박사는 40여 년 동안 미세 표정을 연구한 이 분야의 대가입니다. 그는 사람의 표정을 만드는 근육을 분석해 부호화한 ‘얼굴행동코딩시스템(FACS)’을 학술지 ‘환경심리학과 비언어적행동’에 발표했습니다. 그는 가장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업으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친구들도 많고요. 2014~2015년에 48명이 졸업했는데, 그 중 80%는 대학원에 진학했고, 약 10%정도는 전공과 관련한 대기업에 입사했습니다. 석사나 박사까지 공부를 하면 주로 공기업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으로 진출합니다 ... ...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위해 사용하는 화학물질이에요. 흔히 쓰는 살충제나 농약도 모두 살균제에 속하지요. 1928년에 공기 중에 표백제를 뿌리면 미생물이 죽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뒤, 살균제가 개발되고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지요.미생물은 원래 높은 온도의 열이나 강한 자외선에도 죽지만, 살균제 같은 화학물질을 ...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옮김은 ‘누군가에게는 버림,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옮김’이라는 가치 아래 모인 청년시민단체 ‘옮김’과 함께 하는 활동이에요. 옮김은 몽당 크레파스는 물론 한 번 쓰고 버리는 호텔의 비누나 이면지를 재가공해서 필요한 지역으로 옮기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옮김의 홍석명 활동가는 ... ...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상을 정해보기도 했습니다.아쉬움을 안고 몇몇 연재기사는 올해로 막을 내립니다. 내년에는 새로운 연재기사와 함께 더욱 재미있는 내용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짐을 빠르게 실어 나르기가 어렵습니다.이륙을 기다리던 요원들이 초조해졌나 봅니다. 매년 공항이 붐비는 연말에 300만 건이 넘는 선물을 배달해야 하는 요원으로서 심각한 문제겠지요. 그러나 공항에 새 활주로를 짓기는 쉽지 않습니다. 새 활주로를 낼 땅을 구하기도 힘들뿐더러 소음 때문에 인근 ...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줄리어스 울프는 많은 사람의 뼈를 해부해 본 결과 패턴을 발견했다. 그리고 1892년에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된다는 ‘울프의 법칙’을 발표했다. 뼈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최적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엄밀한 증명이 있었던 건 아니고, 경험에 따른 추측이다.장인권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쉽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는 데 꼬박 2년이 걸렸다.안 대표는 처음 꿈꿨던 게임을 내년 여름 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플레이하우스’라는 게임으로, 집 안 곳곳을 예쁘게 꾸미면, 꾸민 집과 주인공 캐릭터를 3D프린터로 출력해 실물 완구로 받아볼 수 있다. 플레이하우스라는 이름의 오프라인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3분까지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팝스타 마이클 잭슨 역시 포로포폴 남용으로 2009년에 사망했습니다. 이 충격적인 사건으로 프로포폴 오남용의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했죠.일반인의 프로포폴 오남용이 문제가 되는 건 프로포폴이 심각한 ‘정신적 의존성’을 불러오기 때문입니다. ...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린 그림을 선보였다(사진 ①, ②).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의 데이비드 굿쉘 박사는 2000년부터 이런 세포 수채화 그림을 매달 두 개 이상 그려오고 있다. 올해의 마지막을 장식한 두 그림은 2016년 노벨 생리학상의 주인공인 세포 소기관 자가 소화 현상 ‘오토파지★’다.★ 오토파지 : 세포 안에서 ... ...
이전7387397407417427437447457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