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뱀의 발을 봤다는 사람이 있지만 이는 항문에 난 생식기를 잘못 본 것이다.뱀은 주머니
모양
의 교미기를 두개 지니고 있다. 보통 때는 뒤집어서 보관하고 있다가 교미할 때 그중 한개만을 사용한다. 대개의 암컷은 정자를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난생을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개중에 난태생(새끼를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 이름만 들어도 개미들은 오금(?)이 저린다. 힘도 힘이지만 지략마저 탁월하니…문제(1) 올빼미는 밤에 활동한다. 이들은 어떻게 하여 어두운 밤에 먹이를 잘 잡을 수 ... 단일종이었으나 섬마다 조금씩 다른 서식처와 먹이에 적응한 결과, 몸통(크기) 부리의
모양
등이 조금씩 달라졌다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달된 후 사진건판에 투과돼 피사체에 닿게된다. 반사 돼 나오는 물체파는 물체의
모양
에 따라서 변화된 파장이 다시 사진건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이미 사진건판에 도달된 기준파와 만나서 간섭현상을 보이고 그 무늬를 기록한다(그림5). 복사품이 더욱 생생두 형태의 제작방식을 토대로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된다. 그림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X선의 영상을 여러가지 각도에서 얻으면 원래의
모양
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해 낼 수 있고, 각도에 따른 데이터가 많을수록 더욱 실제의 모습에 가깝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수학적으로도 투영된 영상들로부터 원래의 영상을 복원해 내는 것이 증명이 되어 있다. ... ...
(1) KS한글코드 바뀌어야 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해프닝이 벌어졌다. 속사정을 아는 사람들은 말쑥한 글자들 사이에서 유독 그 글자만
모양
이 이상한 이유를 알고 있으니, 신문을 볼 때마다 '푈러 푈러' 외우지 않을 수가 없었다. 문제점 더많은 확장시안이제는 사라진 옛글자를 제외하면 표현 가능한 한글의 총 글자 수는 1만1천1백72자다. 이중에서 ... ...
(4) 한글언어개발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경우가 많지만 한글은 문장의 끝부분에 온다. 이러한 한글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면 겉
모양
만 한글언어일 뿐 실제로는 영어일 뿐이다.한글언어의 구문은 한글과 최대한으로 일치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영문언어에서의 IF THEN RETURN과 같은 키워드를 잘 선택해야 할 것이다.또한 한글언어는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한다.그 대신 오도케우오는 말미잘의 먹이가 되는 고기를 유인해 준다. 멋진 색채와
모양
으로 치장한 오도케우오는 일부러 포식자의 눈에 잘 띄도록 행동한다. 포식자를 말미잘의 촉수가 닿는 곳까지 유인하기 위해서다. 그 유인하는 방법은 아슬아슬하기조차 하다. 거의 상대에게 잡힐 정도로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는 밝은 중심은 확인할 수 있다. 이 성단의 나머지 부분은 밝은 중심을 둘러싼 안개
모양
의 후광처럼 보인다. M15는 지구에서 대략 3만 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X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보아 블랙홀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말의 배꼽페가수스자리의 동쪽 부분으로부터 그리스 신화의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어 가독성이 우수하다. 현재 빨래꼴 글자는 '공한세벌체' '안상수체' '샘물체' 등으로
모양
도 예쁜 글자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세벌식을 싫어한다고 말하는 사람들 중에는 바로 세벌식의 이 빨래꼴 글자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그러는 사람들이 많다. 네모꼴에 익숙한 사람들은 빨래꼴이 낯설다는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만남한편 1831년 가우스는 평면에서 구들의 격자가 이루는 배열중에서는 정삼각형
모양
으로 배열된 경우가 가장 효율적임을 증명했다. 곧 이어서 그는 3차원의 격자배열 중에서는 면심입방격자배열이 가장 효율적임을 밝혔다(여기서 격자라 하면 평면이나 공간에서 규칙적으로 배열된 그물망 같은 ... ...
이전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