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질소의 서리라 여겨지고 있다.트리톤의 지형 또한 복잡하다. 가파른 산, 험한 절벽, 깃털
모양
의 검은 무늬, 멜론의 껍질과 같은 복잡한 지형 등 흥미로운 모습들이 보인다. 트리톤 표면에서 보이는 이 여러 지형과 무늬를 이해하려면 앞으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두번째로 큰 위성인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빛이 닿은 곳에는 작은 전하가 축적돼 결국 하나하나의 감광소자에는 화상정보가 전하의
모양
으로 쌓이게 된다.이런 전하를 덩어리째 고스란히 외부로 들어낼 수 있다면 화상정보를 훼손없이 옮길 수 있는 것이다. CCD를 전하결합소자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하나하나의 감광소자는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어쨌거나 크레이Ⅰ은 과학계산 분야에 신기원을 이룩하였다. 탄두가 충돌시 어떤
모양
으로 찌그러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현재 개인용 컴퓨터로 가장 많이 쓰이는 AT기종을 이용하면 6년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게다가 그 사이 몇번 정전이라도 일어나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잃는다면 영영 해답을 ... ...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과자 깔대기에 아이스크림을 퍼 담아 팔았다. 물에 탄 분유에 향료를 넣고 이것을 원통
모양
의 외통에다 얼음과 함께 담은 뒤 손으로 오랫동안 돌리면 아이스크림이 되었다. 아이스크림이라기 보다는 샤베트분말 같은 것으로 당시에는 그것도 아주 별미로 여겼다.그러나 지금은 진짜 우유로 만든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왜냐하면 (그림6)에서 알 수 있듯이 천동설 우주에서는 수성과 금성이 기껏해야 초승달
모양
으로밖에 보일 수 없기 때문이었다.이외에도 몇가지 다른 관측 증거들로 인해 난공불락의 요새와 같던 천동설 우주관은 무너지게 됐던 것이다. 프레세페와 목성을 한 시야에 연수회의 날짜를 5월 중순으로 ... ...
3.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을 고르도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파워 포인트(Power Point, 예정가 1만5천원) 등이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대개 도형으로 여러
모양
을 만들면서 사고력 창의력 관찰력을 길러주며 수준별 워드퍼즐 형식을 띤다. 또 퀴즈대백과의 경우 인물 역사 지리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문학 정치 경제 등의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목표에 도달하면서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경우는 블레이드 개수와
모양
을 바꾸어서 소음을 감소시킨다. 헬기에서는 블레이드 끝
모양
을 변화시키거나 꼬리의 사이각도를 변화시켜 소음을 줄이고 있다.소음감소는 기존 항공기의 비행항로를 변경시켜서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특히 이륙 시 소음이 심한 지역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그림). 이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바닥에도 있음이 밝혀졌다.열수출구들 근처에서 찍은 사진들은 호수 밑바닥의 매트
모양
의 흰 물질안에서 박테리아형 생물들이 길고 두꺼운 하얀 띠의 형태로 거의 연속적인 층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이와같은 핫 스풋들은 말 그대로 정말 뜨겁다. 호숫물은 섭씨 약 3.5도인데 박테리아 매트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현상이 일어나면서 기반암을 깎아내는 굴식(掘蝕)작용을 일으킨다. 거대한 암괴에 단지
모양
의 매끈한 와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한편 폭호는 경북 청송 주왕산의 제1, 제2, 제3폭포처럼 화산암의 일종인 안산암이 부스러진 파쇄(破碎)절리층의 암석에서, 낙수가 떨어지는 부근에 소규모의 자갈이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960이다. 백조자리 52번별인 4등성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팽창해 있는 회색의 가늘고 긴 띠
모양
을 갖추고 있다. 이 별은 성운과 관계없이 전면에 위치해 있지만 성운의 모습변화를 측정하는 기준자다. 이 별의 북쪽지역은 남쪽 지역보다 더 잘 보이는데 이것은 52번별의 밝은 빛 때문에 성운의 남쪽 반이 ... ...
이전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