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버린 것도 있다.5.② 실고기과의 일종인 해마는 매우 기묘한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
모양
이 말처럼 생겼으며 꼬리지느러미가 없고 꼬리로 물체를 감을 수 있는 구조로 돼 있다. 이들은 물속에서 서서 헤엄치며 다닌다.해마의 수컷은 배쪽에 알을 담는 주머니를 갖고 있다. 암컷이 수컷의 주머니속에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여러 사람들이 비슷한 체험을 신고했는데, 그들은 이구동성으로 자동차 크기만한 계란
모양
의 광구가 그들 차에 다가오자 차의 엔진이 멎고 헤드라이트가 꺼져버렸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 물체가 차에서 멀어지자 엔진과 헤드라이트 불빛이 다시 켜지더라는 것이었다.1976년 9월에는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출혈이 재발되면 다시 새 충전재료를 코에 삽입해야 한다.충전재료로 거즈대신 풍선
모양
의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콧구멍을 통해 쉽게 삽입될 수 있는데 출혈지점에 이르면 부풀어 올라 그곳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풍선장치는 응급한 상황일 때 거즈보다 훨씬 유용하고, 환자의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시속 4만5천㎞의 속도로 돌고 있는 셈이다. 목성이 이렇게 빠른 자전을 하므로 그
모양
이 조금 납작한 타원체가 되는 것이다. 목성은 적도의 지름이 극지름보다 약 7천5백만㎞ 크다.우리가 망원경으로 보는 목성이나 또는 보이저 우주선이 보내온 목성의 사진은 목성 표면이 아니라 상층 대기의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비행운을 그리고 있었다는 것이다.필자는 목격자와 직접 대화를 나누었는데, 물체의
모양
은 커피잔과 흡사했고 목격자와 물체의 거리는 약 1㎞였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 시간대에 군당국에서는 아무런 비행훈련이 없었다 하는데, 이 편대 비행한 괴비행물체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1985년 10월28일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겨울 별들의 길잡이인 '겨울철 대삼각형'은 저녁의 황혼 속으로 사라지기 시작한다. 국자
모양
의 북두칠성이 이 달의 밤 10시 경 머리 위에 오게 되어 북쪽 별들의 길잡이가 되어 준다. 북두칠성의 손잡이 곡선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 오면 오렌지 색의 밝은 1등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별은 목동자리의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가려할 때, 운반하기 쉽게 접어서 싣고 가, 달에 가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해 원래의
모양
대로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형상기억합금이다. 현재 형상기억합금은 브래지어 등 생활용품에도 활용되고 있다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갈고리를 이용해 물고기 몸에 붙은 유생은 물고기에서 양분을 얻기위해 헛뿌리(haustoria)
모양
의 구조물을 물고기의 조직 속에 뻗게되고, 물고기는 이물질을 방어하는 기작으로 조직 분화를 일으켜 유생을 둘러싸는 피낭(被囊)을 형성해 더욱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안전한 상태로 1개월 가까이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흰개미띠가 발견된 것은 지난 70년대 말. 이 띠에는 골짜기와 언덕이 번갈아 나타나 물결
모양
을 이루는데 언덕높이가 2m에 이르는 것도 있고 총 길이는 수천㎞에 달한다.마침내 지난 89년에는 영국정부의 해외 개발부가 운영하는 자연자원연구소(Natural Resources Institute))의 톰 우드와 피터 브린 두 ... ...
사과는 수직으로 쌓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과와 수평을 이루게 된다. 결국 사과에는 아무런 압력도 가해지지 않아 흠집이 나거나
모양
이 변형되지 않는다.한편 사과에 흠집이 나느냐 안나느냐는 사과가 힘을 받아 흡수한 에너지의 양이 얼마나 되는가가 좌우한다. 칸과 빈센트는 예를 들어 록 피핀(Rock Pippin)종의 경우 상하기 전 압력에 ... ...
이전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