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있다. 그런데 (사진2)와 같이 별자리 사진을 점상으로 촬영해야 할 때가 있다. 별자리의
모양
이나 소행성의 위치, 별자리에서의 행성의 위치 등을 알려고 할 때 별의 광적이 너무 길면 곤란하므로 점상으로 나타내야 한다. 이때 별이 필름면에서 점상으로 나타나는 시간은 초점거리 50㎜ 카메라의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가열하는 방법을 택했으나, 유리플라스크를 밀봉하는 대신 목부분을 길게 늘려 S자
모양
으로 구부려서 그 끝을 연채로 두었다. 그러므로 신선한 공기가 플라스크 속까지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파스퇴르가 예상한대로 공기중에 떠다니는 세균이나 미생물은 길게 뽑은 목에 걸린다.그리하여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초래했다.다음은 직립하면서 변화한 비교해부학적 특징들을 살펴보자.① 척추가 S자
모양
을 해 직립이 가능한 형태로 바뀌어 갔다.② 안면각(턱과 이마가 이루는 각)이 커졌고(그림1) 상대적으로 얼굴이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작아)졌다.③ 대뇌의 앞쪽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이마가 앞으로 나왔다.④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백m지점까지 카메라와 감지기를 내려보냈고 고온구역 주위에 펼쳐져 있는 진흙의 온도와
모양
, 염도 등을 측정했다. 어떤 특정지점이 열수배출구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면 곧바로 유인 또는 무인연구용 잠수정을 내려 보냈다. 그 곳의 자세한 지도를 그리고 수중생물체를 찾아내는 것이 잠수정의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인간이 눈을 통해 '사과'를 인식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자. 사과는 그 종류도 많을 뿐더러
모양
이나 색깔 등도 모두가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그것이 사과임을 알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이 높은 유연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많은 학습을 통해 사과의 공통점을 알고 있으므로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터져 나온다. 성좌도 속에서는 별다른 특색이 없어보이는 오리온좌가 거대한 방패연
모양
을 하고 떠있기 때문이다. 그 주위에는 유난히 많은 밝은 별들이 섬광처럼 번뜩인다.그러다보면 자연히 손발이 시린 것도 잊고 만다. 입김을 손에 불어 비비고 발을 두어번 구른 다음 본격적으로 1월의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인기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고 레이저빔 프린터를 생산하는 대부분의 업체들이 인쇄물의
모양
을 좋게 해주는데 필수적인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언어를 지원하겠다고 한다. 물론 우리나라에는 포스트스크립트 처리용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회사가 없기 때문에 이 기능이 필요한 회사마다 ... ...
「컴덱스90」을 통해 드러난 91년 컴퓨터 유망상품 7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제품들도 2천~4천달러 정도로 싸졌다.이렇게 출력 품질이 높아진 데다가 글자체의 크기와
모양
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postscript)이 등장하여 탁상출판(desktop publishing)을 경제적인 가격에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었고,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워드프로세서에서 바로 탁상출판이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있는 실정이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이끼는 회백색을 띤 방사선
모양
의 이끼류인데 대기가 오염되면 이것이 맨먼저 죽는다고 한다.일본 대도시의 여러 곳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10종류 이상의 이끼가 탈없이 자라는 지역은 도심 가까이에는 없다. 적어도 도심에서 50㎞ 이상 떨어진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속하는 새들은 보통 나무 동굴에 둥지를 튼다. 그러나 옆면에 출입구가 있는 공
모양
의 둥지를 트는 종류도 있다. 갈색 찌르레기는 이 두가지 방법을 다 구사하기도 한다. 어떤 종류는 절벽 틈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둥지의 재료로는 잔나뭇가지 마른풀 낙엽 등을 쓰고 있다. 그밖에도 새털 종이 걸레 ... ...
이전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