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우주공간만의 특별한 환경 중 대표적인 것은 진공과 무중력 상태다. 1643년 토리첼리가
처음
으로 진공을 발견한 이후 이제 진공은 쉽게 만들 수 있고,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 됐다. 그러나 지상에서 인공적으로 무중력 상태를 만드는 일은 쉽지 않다.우리가 지상에서 무중력 상태를 ... ...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최적의 실제 상황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로켓까지 다양한 연구로켓에는 비행할 때 필요한 연료를 담는 연료탱크가 있다.
처음
로켓이 발사될 때 가속도가 매우 크므로 연료탱크는 힘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연료탱크 내부에 보강재를 넣어 찌그러지지 않도록 한다. 내부보강재는 힘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으면서 가벼워야한다.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환기시스템이 전적으로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처음
부터 터널 내 오염된 공기를 희석시키거나 빼내기 위해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연기배출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이다. 홍지문 터널만 하더라도 화재자동감지기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환풍기를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선정됐다.우주센터의 선정과 관련된 에피소드 하나. 사실 최종 결정요인이었던 접근로는
처음
후보지 선정과정에서 외나로도에 불리한 요인이었다. 지도로 검토했을 때는 고흥과 내나로도, 내나로도와 외나로도를 잇는 다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보지 선정과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직접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암반이 침몰선과 비슷한 정도로 음파를 반사시키기 때문에 역시 실패를 거듭했던 것이다.
처음
에 탐사팀은 침몰선의 실제 크기보다 큰 이상 물체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그동안 울릉도 해저 지형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고 이상 물체를 선정했던 것이다. 탐사팀은 긴 암반과 침몰선이 나란히 ... ...
잊혀진 컬럼비아호의 희생자 거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됐다. 1994년 7월 컬럼비아호에서는 우주멀미에 강한 송사리 4마리가 사상
처음
으로 우주에서 산란에 성공해 8마리의 새끼송사리가 우주에서 태어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안쪽의 구별이 없는 면(단측면〈單側面〉)임을 알 수 있다곡면의 이러한 성질을
처음
지적한 A F 뫼비우스를 기념하기 위해 이 곡면을 「뫼비우스의 띠」라고 부른다 1929~ 독일의 물리학자 뭔헨에서 태어나 뭔헨 공과대학에서 물리학을 배웠다 뫼스바우어 효과를 발견하고 61년 노벨 물리학상을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근대 지도학의 창시자 루뱅 대학에서 수학 · 천문학 · 지리학을 공부하고 1538년에
처음
으로 세계지도를, 41년에는 지구의를, 51년에는 천구의를 제작했다1569년 네덜란드의 G 메르카토르가 세계지도를 그리기 위해 고안한 도법 원통도법에 속하며 정각이다경선은 등간격으로 평행한 직선이고 위선은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음향이 영화 상영 중 어느 시간에 나와야 하는지만 기록한다. 영화 ‘쥬라기공원’에
처음
적용된 이 형식은 돌비디지털보다 음질이 좋아 영화 마니아층에게 특히 인기를 끌었다.음향은 주파수별로 개별행동필름이나 CD롬에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음향은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프로그램과 연계해 소규모로 연구가 진행된 정도다. 이번에 시작한 신기술융합사업이
처음
으로 정부 연구개발사업에서 융합을 강조하는 사업인 것이다. 신기술융합사업은 타 분야 연구자 간 결합이 실제로 이뤄지기 위해 세부 사업에 다양한 기술분야의 연구인력집단들이 ‘반드시’ 참여해야 ... ...
이전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