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효율적인 망치를 디자인하는 과정을 유전알고리즘의 연산자와 대비시켜 설명한 것이다.
처음
에는 해집단을 임의의 망치들로 채운다. 이로부터 하나의 새로운 망치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해집단에서 두개의 망치를 선택한 다음 두 망치의 특징을 부분 결합해 새로운 망치를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출동했다면 뤼팽의 긴 꼬리는 쉽게 잡혔을 수도 있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그가
처음
으로 저지른 미술품 도난 사건에 관한 에피소드 ‘감옥에 갇힌 아르센 뤼팽’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프랑스 세느 강변 근처에 깎아지른 듯한 절벽과 깊은 물살로 둘러싸인 ‘말라키 성’이라는 외진 성(城)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복잡한 일을 담당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로봇이 인간의 파트너로 생활하기 위해
처음
선택한 일은 바로 청소다. 청소는 주거공간을 청결하게 보존하고 능률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정돈하는 일을 가리킨다. 가사일을 하는 사람은 누구나 공감하겠지만 청소는 매일 해도 끝이 없는 일이다.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사이에 존재한다 이것을 롤의 정리라 한다 척수성 운동실조 독일의 의사 M H 롬베르크가
처음
으로 보고했다 피검자의 양쪽발을 닿게 하여 똑바로 서게 하고 양눈을 감게 하거나 천장을 보게 하면, 시각의 대상(代償)작용이 단절되기 때문에 시각 이외의 위치감각이나 운동감각, 미로감각이 장애를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케빈 워릭 교수는 자신의 팔에 전파교신기가 내장된 컴퓨터칩을 이식해 인류역사상
처음
으로 치료 목적이 아닌 이유로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첫번째 인간이 됐다. 당시 그의 몸에 이식된 칩은 연구실 건물 관리 컴퓨터에 신호를 보내 워릭 교수가 연구실 건물로 들어서면 자동으로 문이 열리고 ... ...
1 온난화 탈출할 비상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방지하기 위한 국제 차원의 공식적인 논의는 1979년 2월 개최된 1차 세계기후회의에서
처음
시작됐다. 이 회의에서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 가능성과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의 필요성이 인정된다는 점을 선언했다.1980년대 들어 세계적으로 이상기후에 의한 자연재해가 ... ...
사이버 세계 수호하는 디지털 수사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국제컴퓨터조사전문가협회(IACI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mputer Investigative Specialists)에서
처음
으로 사용됐다. 당시 이 용어는 컴퓨터 보안 영역과 컴퓨터 법학회에서 자주 사용되던 말로서, 법학 분야의 과학적 응용으로 전문가들 사이에 회자되던 말이었다. 하지만 점차 사이버 범죄가 증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대사제어 기구의 하나로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효소계에서 최종 단계의 생산물이
처음
단계의 효소를 억제하는 것가을밤 남천(南天)의 지평선에 보이는 작은별자리 약자는 Gru 남쪽물고기 자리(Piscis Austrinus)의 1등성 포말하우트보다 밑에 위치한다두 가지 성분으로 된 용액의 증기압을 각 성분의 ... ...
거품의 과학이 빚어낸 마술 버블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엄밀한 수학적 증명은 독일 수학자 슈바르츠가 1884년
처음
해냈다. 표면적이 가장 작은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자연의 법칙이다. 미국 수학자 프랭크 모간은 두 비누방울이 만날 때 역시 이 법칙이 적용됨을 밝힌 바 있다.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박성호 박사의 말에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M13의 겉보기지름은 보름달보다 약간 작은 23′ (1′= 60분의 1˚)가량이다.구상성단 M13을
처음
발견했던 사람은 핼리혜성의 재출현을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천문학자 핼리다. 그는 1714년 M13을 별과는 다른 작은 빛뭉치로서 맨눈으로도 보인다고 언급했다. 이로부터 약 50년 후 프랑스의 천문학자 ... ...
이전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