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 유랑단] 단청을 품은 플레사곤 장난감 만들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겉보기엔 정삼각형 6개로 이뤄진 육각형이지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뒤집으면 1개 면이 새로 더 나타나요. 즉 3개의 면으로 구성돼 있어요. 플렉사곤은 뒤집었을 때 나오는 면의 개수에 따라 삼단, 사단, 오단이라고 이름을 붙여요. 이연희 교사는 “평면 도형이 입체 도형으로 변하는 특징 때문에 ... ...
- [과학뉴스] 시조새만 조류의 조상일까? 롱다리 조류 공룡, 푸젠베나토르 발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시조’란 맨 처음의 것, 조상이라는 뜻이다. 1861년 독일 졸른호펜 채석장에서 처음 1억 5000만 년 전 쥐라기의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이후로 현재까지 조류의 조상은 시조새로 여겨졌다. 수각류 공룡에서 진화한 시조새를 시작으로 현대의 조류가 진화했다는 것이다. 몇몇 시조새 화석을 제외하면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목표 중 하나는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 장치 상에서 미각이나 후각을 구현하는 것이다. 2021년에 발표한 ‘혀로 핥아 맛보는 TV’도 이 목표의 연장선상에 있다(왜 이건 이그노벨상을 받지 못한 거지?). 최근에는 마늘향을 코에 따로 분사해, 입냄새 없이 마늘맛을 즐기는 장비도 개발했다. 미야시타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말했다.지하철 노선도는 색으로 노선을 구분한다. 서울시 노선도도 마찬가지다. 1호선은 짙은 파랑, 2호선은 초록 등 각 노선의 색을 따라 길을 찾는다. 그런데 색을 구분하기 어려운 색약자는 노선도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런던 지하철 노선도의 경우 각 노선에 패턴을 부여해 이 패턴을 토대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태어난 새끼 양을 인공 자궁에서 4주간 키우는 데 성공한 바 있습니다. doi: 10.1038/ncomms15112 당시 연구진은 인공 자궁에서 자란 새끼 양의 혈액이 안정적으로 순환했으며, 산소도 정상적으로 공급됐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이 인공 자궁을 사람에 맞게 개선했고, 올해 드디어 인간에 대한 임상시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자신의 역량에 집중하며 과학고를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경기북과학고에서 1차 및 2차 지필시험 등의 매 학기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말씀해주세요.우선 일부 인문 교과를 제외한 과목이 모두 서술형 시험입니다. 6~8문항으로 50분 정도 진행되죠. 기본적으로 학교의 수업 범위 내에서 ... ...
- [황금 소년의 비밀] 미라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시작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황금 소년의 비밀] 미라의 과학Part1. [특집] 혀까지 황금?! 이집트 미라 '황금 소년'Part2. [특집] 죽기 전 식사 메뉴까지 밝혀낸다? 세계의 자연 미리Part3. [특집] 생전 모습 거의 그대로! 우리나라의 ... ...
- [특집] 죽기 전 식사 메뉴까지 밝혀낸다? 세계의 자연 미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거예요. 몽골과 중국의 사막처럼 매우 건조한 기후 또는 알프스 산맥, 극지방처럼 1년 내내 땅이 얼어 있는 영구동토층 등에서도 미라가 발견되죠.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홍종하 교수는 “미라는 피부나 장기 등 연한 조직이 남아 있어 단단한 뼈만 남은 유해만으로는 알 수 없는 ... ...
- [기획] 원소의 소리, 천사의 합창 같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가청주파수보다 대략 1조 배만큼 높다는 점을 착안했어요. 이에 가시광선의 주파수를 1조 배 낮추어 가청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켰습니다. 시각 정보인 선 스펙트럼을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음으로 변환한 거죠. 결과를 확인해보니, 원소마다 선 스펙트럼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원소가 내는 음 또한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금강의 민물고기 탐사를 꼽을 정도였으니까요. 두 대원은 “관심사도 다르고, 코로나19 때문에 자주 보지는 못했지만 함께 탐사 활동을 하는 게 재미있다”고 입을 모았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임주원 대원은 동물 사육사, 박범현 대원은 민물고기 연구자라는 꿈도 생겼지요. 장이권 교수는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