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탐색"(으)로 총 8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세돌 1승][제4국 분석] 알파고 무너뜨린 신의 한 수, 78수의 비밀2016.03.14
- 이길 확률이 높은 수를 두는 것이지 사람처럼 어떤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직으로 탐색하지는 못합니다. 여기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10여 수만 읽으면 됐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은 의외였습니다. 아마 이전 수부터 이세돌 9단의 의도에 제대로 수 계산이 ... ...
- [이세돌 vs 알파고]신의 한 수 ’78수’ 후 알파고 폭망한 이유2016.03.13
- 통해 바둑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모든 것을 탐색하는게 아니라 특정한 알고리즘을 사용해 필요한 경우만 들여다 보는 것이죠. 이 방식으로 바둑게임이 크게 발전을 합니다. (몬테카를로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
- 패싸움도 안 통했다…이세돌, 176수 만에 불계패동아일보 l2016.03.12
- 한계치까지 이르렀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알파고가 1200여개의 cpu를 연결해 수를 탐색하는데요, 그 많은 용량을 거의 풀가동했다는 뜻입니다. 이번에도 그랬으면 합니다. 자 예상대로 됐습니다. ○1보(1~10) 이세돌 9단 똑같은 복장입니다. 짙은 감색에 하늘색 와이셔츠. 이 9단의 경기복과 ... ...
- [이세돌 vs 알파고 12일 제3국] ‘알 사범’ 아킬레스건은?동아일보 l2016.03.12
- “축구에서 운동장을 넓게 쓰듯 가급적 돌을 듬성듬성 분산시켜야 알파고의 탐색이 어려워져 좋은 수를 찾을 확률이 낮아진다”고 말했다. 그는 꼭 이 9단에게 이런 내용이 전달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사이버오로와 타이젬 등 바둑 사이트에도 바둑 고수들의 조언이 이어지고 있다. ... ...
- 구글, 너희가 인공지능의 최고라고? 천만의 말씀!2016.03.11
- 아닐 겁니다. 달이라는 새 영토를 개척했던 아폴로 11호처럼 인공지능이라는, 인간이 탐색해야 하는 새 지평이 열렸다는 선언인 것이죠. 어쨌든 알파고를 소유한 구글은 이번 대국으로 많은 것을 얻게 되었습니다. 보유한 인공지능의 성능도 검증할 수 있었거니와 전 세계의 미디어에 압도적인 ... ...
- [알파고 1승]“정교하지 못한 알파고, 남은 대국 이세돌 승리 가능성 높아” 2016.03.10
- 전략이 중요한 국면보다는, 국지적인 전투들로 판이 잘게 나뉘는 것을 선호한다. 탐색 공간이 제한된 영역에서의 수읽기는 컴퓨터가 제일 자신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백24로 들여다보고 26으로 치받아 끊는 것은 과감했다. 떠올리기 어려운 반발은 아니지만, 사람이었다면 초반에 포인트를 올리고 ... ...
- [알파고 1승]알파고, 셀프대국 통해 학습능력 키워… 5개월새 놀라운 진화2016.03.10
- 알파고의 기본 시스템은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이 주로 사용하는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MCTS)’이다. 이는 돌을 놓은 자리에서부터 새롭게 연산을 수행해 다음 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무한대에 가까운 연산 범위를 현실적인 선에서 줄일 수 있다. 알파고 개발자들은 여기에 컴퓨터 스스로 학습할 ... ...
- [이세돌 vs 알파고]인간, 기계에 ’두뇌 싸움’ 패배(종합) 2016.03.09
- 새로운 학습 알고리듬이 있었다. 매 수를 둘 때마다 ‘심층 신경망’과 ‘나무 탐색’ 알고리듬을 이용해 전체적인 패턴을 읽고 이길 확률이 높은 수를 선택했다. 이를 위해 알파고는 프로 기사의 경기에 나온 약 3000만 수를 학습했다고 알려져 있다. 바둑기사 이세돌(오른쪽) 9단과 데미스 ... ...
- “직관력은 인간이 한 수 위” vs “컴퓨터는 긴장하지 않아”2016.03.09
- 착수를 결정하는 바둑 프로그램의 한계이기도 하다. 즉 알파고가 과거 프로그램보다 탐색하는 ‘경우의 수’를 크게 줄였지만 돌이 별로 없는 초반 포석 단계에서 검토해야 할 ‘경우의 수’는 여전히 많다는 것. 지난해 10월 판후이 2단과의 대결에서도 알파고는 포석에선 불리한 경우가 많았지만 ... ...
- 이세돌과 대국하는 ‘알파고’, 출생의 비밀2016.03.08
- 존재하는 원자의 수보다 더 방대한 바둑의 수를 탐색하기엔 적합하지 않아 보였으나 탐색할 가지 수를 압축하는 여러 가지 알고리즘과 결합하면서 바둑게임에서 폭발적인 위력을 보이게 된다. 주어진 상황에 맞는 수를 DB검색을 통해 찾는 것이 아니라 1초에 4만번에 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