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1,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생명체 '씨앗' 탄소 뿌리고 스러지는 백색왜성
연합뉴스
l
2020.07.07
이론을 토대로 이 별이 처음 형성됐을 때의 질량을 구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이론과
관측
으로 뒷받침된 별의 '시종(始終) 질량 관계'에서 예측된 범위를 벗어나는 질량이 훨씬 큰 백색왜성들이 확인됐다. 우리은하에서는 약 10억년이 된 별이 태양의 0.6~0.65에 달하는 질량이 큰 백색왜성을 만들지 ... ...
소형 발사체 작은 거인 로켓랩 쓴잔 마셨지만 다시 '도전'
2020.07.07
5기를 일렉트론에 실어 올릴 예정이었다. 플래닛은 지구를 최대 0.5m 해상도로
관측
하는 초소형위성 150대를 이용해 지구 곳곳의 영상을 촬영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플래닛은 인도의 극궤도우주발사체(PSLV), 러시아 소유스 로켓, 스페이스X 팰컨 로켓, 오비탈의 ‘미노타우로스 C’ 등 다양한 ... ...
태양계 무게중심 100m 이내로 오차 줄여 블랙홀 연구 도약
연합뉴스
l
2020.07.06
오차로 잡아낼 수 있었다고 한다. 테일러 박사는 "우리 은하에 산재한 펄서를 정확히
관측
함으로써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이전보다 더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었다"면서 "(라이고를 비롯한) 다른 중력파 검출 장비에 더해 이런 방식으로 중력파를 찾아냄으로써 우주에 있는 모든 종류의 블랙홀을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연합뉴스
l
2020.07.02
가스를 모두 사라지게 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설명했다. 암스트롱 박사는 "이번
관측
결과는 핵이 노출된 행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입증하고 이를 추적해 냈다"면서 "이를 통해 태양계에서 할 수 없는 방식으로 행성의 핵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됐다"고 했다. ... ...
독자 기술로 제작한 대형 천체망원경, 광주과학관에서 일반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이용한다. 거울의 지름이 클수록 천체에서 나오는 빛을 더 잘 모을 수 있어 어두운 별도
관측
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제작된 최대 직경 반사거울 망원경은 지름이 1m였다. 이번에 에스엘랩이 독자 기술로 제작해 국립광주과학관에 납품한 천체 망원경의 반사거울 직경은 1.2m다. 지름이 ... ...
美 CDC 국장 “코로나19 감염자 실제 10배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감염자가 확인된 것보다 10배 더 많을 수 있다는
관측
을 내놨다. 26일 글로벌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가 250만4676명인 것을 감안할 때 실제 감염자는 약 2500만명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25일(현지시간) ... ...
우주에서 확인된 코로나19로 확 달라진 지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야간 위성사진이다. 1월에 비해 4월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병원이 밝게 빛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 ... 견딜 수 있는 강력한 분석 도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지구
관측
대시보드: https://eodashboard.org/ ... ...
은퇴 앞둔 천리안 1호, 10년간 우주에서 한 일 살펴보니
연합뉴스
l
2020.06.25
본격 분석·가공된 정보를 제공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양
관측
위성인 '천리안위성 1호'가 발사 10주년을 맞았다고 25일 밝혔다. 천리안 1호는 2017년까지 운영하도록 설계됐지만 기능에 문제가 없어 내년 초까지 4년여를 더 운영하게 된다. 이후에는 얼마 전에 발사한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공 안에 초고밀도로 압축된다. 태양 두 개가 도시 하나 크기로 압축되는 셈이다. 현재
관측
을 통해 확인된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은 지난해 말 ‘네이처 천문학’을 통해 밝혀진 약 4600광년 거리의 중성자별로 태양 질량의 약 2.14배였다. 김 교수에 따르면, 현재까지 우리은하에서 발견된 중성자별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
2020.06.24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음양오행설은 수메르의 천문
관측
에서 시작된 상상이었을 뿐이다. 118종의 원소가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고, 쿼크와 보손으로 구성된 표준모형이 실험으로 확인된 세상을 살아가야 할 학생들에게 과거의 낡은 세계관을 강요할 수는 없는 일이다.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