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1,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달, 해를 베어물다' 천문연 연구자들이 포착한 21일 부분일식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달이라면 초승달처럼 보이는 규모다. 이번 부분일식은 향후 10년 이내에 국내에서
관측
가능한 마지막 부분일식으로, 다음 부분일식은 2030년 6월에 일어날 예정이다. 천문연 대전 본원에서 촬영한 최대식 사진이다. 박영식 천문연 선임연구원이 오후5시 4분 촬영했다. 태양의 48%가 가려졌다. ... ...
[동영상]"놓치면 10년 뒤" 21일 오후 3시50분 부분일식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달이 해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 이달 21일 오후에 일어난다. 날씨가 좋다면 국내 모든 지역에서
관측
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 쉽게 찍는다) 이달 21일 오후, 전국에서
관측
가능한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서울에서
관측
가능한 모습을 상상도로 그렸다. 한국천문연구원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순수 성변물질이 발견된 QSF 24이다. 오른쪽 아래 박스는 QSF 24의 확대 사진으로 IGRINS
관측
슬릿의 위치가 표시돼 있다. 서울대 제공 방출선이 충격파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성변물질에서 방출된 것을 확인한 결과다. 성변물질은 별이 방출하는 별 주변의 물질로 Cas A 초신성 잔해에 있는 ... ...
코로나19 이동제한 미세먼지 못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했다. 연구팀은 중국에서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졌던 1월 23일부터 2월 13일까지 대기
관측
위성이 분석한 대기 조성과 주요 대기오염 물질의 지상국 측정 자료, 기상 데이터 등을 종합해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이 시기 대기로 배출된 이산화질소의 양은 지난 5년 같은 시기 평균 배출량에 비해 72%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만 있어도 쉽게 찍는다
과학동아
l
2020.06.18
제공 일부 지역에서는 달이 태양 안에 들어가 태양이 고리 모양처럼 보이는 금환일식이
관측
되기도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태양면적의 약 4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만 볼 수 있습니다. 부분일식은 오후 5시 2분 절정을 이룰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식과 월식을 제대로 촬영하고 싶다면 천체망원경과 ... ...
화성탐사 로버에 희미한 점으로만 포착된 지구
연합뉴스
l
2020.06.17
(Curiosity)가 최근 포착한 지구와 금성 사진이 공개됐다. 지구와 금성은 화성에서
관측
할 때 밝은 별처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공전궤도 상 워낙 멀리 떨어져 있는 데다 대기에 먼지가 많아 희미한 점으로만 포착됐다. 이 사진은 지난 5일 촬영한 것으로 일몰 뒤 광도를 측정하기 ... ...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퀸' 국내서도 코로나19 임상 중단
연합뉴스
l
2020.06.17
임상시험 중단 이유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미국에서의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관측
이 나온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클로로퀸 계열 약물이 코로나19 환자에게 ... ...
21일 오후 전국에서 부분일식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이달 21일 오후, 전국에서
관측
가능한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서울에서
관측
가능한 모습을 상상도로 그렸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달이 해 ... 남서부 일부 지역에서
관측
이 가능하며 국내에서는
관측
이 불가능하다. 국내에서
관측
가능한 다음 부분일식은 2030년 6월 1일에 일어날 예정이다. ... ...
동북아 과학자들 2차 생성 미세먼지 기초부터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미세먼지를 입체적으로
관측
하고 분석할 수 있는 위성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과 항공
관측
기법도 개발된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껼합해 3차원 미세먼지 공간분포 측정 기술을 개발하고 인공지능 활용 예보 모델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또 그동안 추진해 온 미세먼지 R&D ... ...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연합뉴스
l
2020.06.10
전체 궤도까지 파악한 것은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파올라 카셀리 MPE 소장은 "이번
관측
결과로 마침내 가장 깊은 곳에 박혀있는 초기 원시별 항성계 중 하나를 속속들이 파악해 역동적 구조와 복잡한 형태를 밝혀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