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진행돼 여러 사람이 LCD TV를 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세계 LCD시장 1위 굳히기1983년 처음으로 3인치 액정 TV가 시장에 나온 이후, 1990년까지 3-5인치급 소형 TV에 TFT-LCD가 이용됐다. 이후 1991년부터 8.4-10.4인치 크기의 노트북용이 생산됐고, 1995년부터는 11.3-13.3인치 크기의 제품이 생산됐다.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초반이다. 미국은 탱크나 제트기를 만들면서 사고를 대비해 충격 시험용으로 더미를 처음 사용했다. 군사적인 목적으로 더미가 자동차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부터다. 지난 50여년 동안 더미는 자동차 충돌시험에 대부분 사용된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앞으로는 우주에서 활약하는 ... ...
- 유리잔 속 빛의 길과 물의 진동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충돌해 흩어지면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이 현상은 영국의 물리학자 틴들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됐다. 그의 이름을 따서 이 현상을 ‘틴들 현상’이라고 한다. 틴들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먼지가 자욱한 곳에서 빛줄기가 보이는 것이나 구름 속에서 빛살이 보이는 것 등이 모두 ... ...
- 3 월석에 간직된 잔류자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불어나오는 강한 이온화된 플라스마의 흐름인 태양풍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했다.그런데 1960년대 말에서 1970년 초까지 아폴로 우주선이 지구로 가져온 월석(月石)에는 잔류자기가 있었다. 과학자들은 암석의 잔류자기를 달이 생겨난 지 5억년에서 10억년 사이인 36억-39억년 전쯤에 ...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보낼 수 있는 발사체였다.무기와 우주개발 사이에서 좌절된 꿈쥘 베른의 우주비행법을 처음으로 진지하게 연구한 것은 1926년 독일의 우주여행협회(VfR)였다. 로켓개발의 선구자인 막스 바리어와 헤르만 오베르트는 쥘 베른의 기술적인 실수를 수정해 달까지 비행 가능한 대포를 설계했다. 이렇게 ...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공룡이다.진품 화석, 발굴에서 전시까지 - 공룡에 새 생명 불어넣는 보존처리작업화석을 처음 발견하기까지는 많은 기다림과 끊임없는 관찰이 필요하다. 일단 화석을 발견하면 그 일대에서 집중적으로 발굴 작업이 이뤄진다. 화석을 발굴하는 작업 역시 마라톤처럼 길고 지루한 과정이다. 해머, 끌 ...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최초의 컬러 TV 방송이 개시됐다. 컬러 TV 방송은 일본에서 1960년, 우리나라에서 1980년 처음 시작됐다.▲ 완전평면TV 등장볼록 TV의 시대가 끝나고 화면의 왜곡을 없앤 새로운 완전평면 TV 시대가 열렸다. 초기 CRT가 볼록했던 이유는 화면의 가장자리에 전자광선이 퍼지지 않도록 곡률 반경을 맞춘 ...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나노 반도체 개발 뉴스가 나왔지만 나노급 상용 반도체를 만든 것은 삼성전자가 처음이었다고 한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나노 반도체의 양산 기술을 개발해‘나노 반도체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삼성전자가 나노 반도체를 개발한 기술은‘깎아내기’(top-down) 방식이었다.깎아내기 ...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늘어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제4회 대회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윤창노 교수팀이 처음으로 참여했고, 이번에는 윤 교수팀과 고등과학원의 이주영 교수팀이 출전했다.이 교수팀이 CASP에서 높은 성과를 거둔데는 그가 미 코넬대 연구팀에 있을 당시인 제3회부터 참여한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가 ...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뜻도 사다리꼴이다). 트라페지움이 네개의 별이란 사실은 1673년 프랑스의 피카르드가 처음으로 밝혀냈다.또한 오리온대성운을 잘 보면 두개의 성운으로 나눠지는데, 이를 구분해 분류한 사람은 성운과 성단의 목록을 만든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시에다. 그는 두 성운에 M42, M43이라는 ... ...
이전750751752753754755756757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