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풀 때는 분모를 없애고 정방정식(整方程式)을 유도하고 그 정방정식의 근 중에서
처음
방정식의 분모를 0으로 하지 않는 것을 택하면 된다분모를 0으로 하는 것은 분수방정식의 무연근(無緣根)이라고 한다분수식을 포함하는 부등식 분자의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또는 그것을 설명하는 이론 ... ...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배출되거나 대사에 의해 감소하여 그 때의 감속속도가 그 물질의 체내량에 비례할 때
처음
에 있던 양이 반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주로 감염증의 치료 · 예방 · 진단에 사용되는 병원(病原)미생물 자체, 면역항체 등과 혈액 자체 및 혈액성분을 제제화한 제제의 총칭 폐수내의 유기물질을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녹지 않는다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백합과 식물인 아스파라가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나온다 D체는 단맛이 있고, 콩과 식물인 Vicia ativa 의 새싹에서 나온다감미료의 하나 정식이름은 L-아스파르틸 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 ...
왜 핵과학자들은 초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 이름들은 어떻게 생겨났을까.원소는 발견자의 뜻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그러나
처음
발견된 원소라 하더라도 다른 연구팀에 의한 검증 절차와 그 원소의 화학적 성질의 규명이 이뤄져야 비로소 이름을갖게 된다. 즉 109번까지는 이 과정을 거친 것이다.그러나 화학적 성질을 검증받지 못한 ... ...
벽 뚫고 지나가는 공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1927년 훈트는 물체가 이런 장벽을 뚫고 지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인 터널링 현상을
처음
으로 밝혀… 윽.모험이는 미래의 일을 언급해서는 안된다는 시간여행의 규칙을 어길 뻔해서 급히 말을 중단했다.뉴턴 : 학생! 학생의 말은 그러니까 이 상자 안의 공이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단 말인가 ... ...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주인공은 NGC2392(에스키모성운)이다. 1787년 독일 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한 이 성운은 보통 망원경으로 보면 파카의 털모자를 뒤집어쓴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그래서 별명도 에스키모성운이다.겨울철에 우리가 흔히 입는 파카는 원래 에스키모가 입던 옷에서 유래했다.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어떤 귀금속보다 귀한 태양입자를 채집해 2004년 9월경에 돌아올 계획이다. 인류 역사상
처음
으로 입수될 태양입자가 무사히 과학자들의 손에 전달된다면 태양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이를 통해 우주의 다른 별을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따른 맥주 거품의 감소가 수학적으로 지수함수를 따른다는 결과를 얻었다. 맥주 거품이
처음
으로 반으로 줄어드는데 걸린 시간(반감기)이 그 다음 반으로(초기의 1/4) 줄어드는데 걸린 시간, 또 그 다음 반, 그 다음 반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는 말이다.맥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단지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수백 개를 원자로 내부에 넣어 노심(爐心)을 구성한다 멘델 법칙에 따르지 않는 유전
처음
비멘델식유전은 반성유전(伴性遺傳)처럼 멘델 법칙의 재발견 당시 그것에 따르지 않는 것을 모두 일컬었으나 그 후 유전학의 발달로 이들은 멘델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현재는 세포질유전만을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김박사에게 수여했다. 한림원상 역사상 의학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오기는 김 박사가
처음
이다.김 박사는 가장 먼저 ‘뇌세포를 시험관에서 살리는 방법’에 몰두했다. 김 박사가 신경과학 분야에 매진하던 1970년대에는 시험관 배양의 대상이 신생아의 뇌조직이었다. 성인 뇌세포에 비해 키우기 쉽기 ... ...
이전
753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