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자주 등장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동물 가운
데
굳이 비슷한 걸 찾자면 아나콘다(6~10m)인
데
, 제아무리 커다란 아나콘다라도 먹잇감을 돌로 만들지는 못한다.영화와 소설에서 만날 수 있는 거대동물을 실제로 만나면 어떤 느낌이 들까. 고래잡이배 선원이었던 경험을 살려 ‘모비딕’을 탄생시킨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등 수도권 인구 밀집지역과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에서 활성단층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한다. 그나마 지금 확보한 활성단층 지도도 완벽한 것이 아니어서 정부는 현재 원전 주변 지역을 전면 재조사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내진 설계가 적용되기 전에 지은 건물에도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은하단의 사이에서 구상성단들이 무리 지어 있는 모습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며 “구상성단 무리의 전체 크기가 수백만 광년 규모로 거대하다”고 밝혔다.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갈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연구팀은 미국 뉴멕시코 주에 있는 반사경의 지름이 2.5m인 ... ...
‘지방맛’ 둔감하면 살찐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둔감해지면서 기름진 음식을 점점 찾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지방맛을 느끼는
데
개인 차가 있는 이유를 밝히면 과도한 지방섭취를 막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설명했다.ICP기술은 짠맛 외에도 물을 오염시키는 박테리아나 특정 물질을 없애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소형 장치 수백 개를 묶고 태양광전지로 전기를 공급하는 간이 장치를 만들면 지진 재해나 가뭄 재해 지역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름 20cm의 웨이퍼에 설치한 1600개 나노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견해를 피력했다. 1세대 GMO가 제초제 및 해충 저항성 품종처럼 단순히 생산량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현재 개발되고 있는 2세대 GMO는 영양소 강화 같은 기능성을 강조한다.최 교수는 “3세대 GMO는 식용 백신, 항암 성분, 혈압강하제 같은 의약용 성분이 강화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부가가치를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현 : 좋은 생각입니다(웃음). 아무튼 창의연구사업은 우리나라 과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자부합니다. 1997년 선정된 포스텍 김기문 교수는 2008년부터 화학저널인 ‘앙게반테 케미’의 편집위원이고 김빛내리 교수도 올해 ‘셀’의 편집위원으로 선임됐습니다(현 교수도 2005년부터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생명체’란 무엇일까. ‘살아 있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저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생명의 비밀을 ‘동적평형’이라는 개념으로 속 시원하게 파헤쳤다.‘동적평형(動 ...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함께 대칭이 어떻게 오늘날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가운
데
하나가 됐는지 알려준다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결합해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합니다.”두 가지 중합체를 따로 만들어 섞어줘도 될 텐
데
굳이 번거롭게 블록공중합체를 만드는 이유는 뭘까. 이 교수는 “블록공중합체는 성질이 서로 다른 고분자들이 공유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꼭 붙어 있는 매우 안정한 상태”라며 “블록의 크기와 형태에 ... ...
이공계 진학의 새 길, 과학중점학교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활동을 살펴보면, 과학고와 과학영재학교는 R&E를 비롯해 과학연구 활동에 치중하는
데
비해, 과학중점학교는 과학탐구 및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과학중점과정 이외의 학생에게도 과학소양을 함양시키는 과정을 두고 있다. 과학고 졸업생은 이공계열 과학자, 과학기술자 등 과학 전문직으로 ... ...
이전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