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땅이 흔들리고 갈라지는 현상이다.지진해일바닷속 지진으로 일어나는 해일을 말하는
데
쓰나미라고도 한다. 해일은 해수면의 높이가 갑자기 높아져 바닷물이 땅으로 올라오는 현상이다.진원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인 에너지가 처음으로 발생한 지점이다.진앙진원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지표면의 ... ...
거미줄에 맺힌 물방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머리카락 두께의 100분의 1에 불과한 거미줄에 어떻게 물방울이 방울져 매달려 있을까요? 그 비밀이 풀렸습니다.중국의 과학자들은 ‘유럽응달거미’의 거미줄 ... 미세한 액체 방울 에어로졸을 거르거나 특정한 물체를 끌어들이는 촉매나 필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100m 달리기, 5~6초에 가능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사람의 근육이 그만큼 빨리 수축하지 못합니다.연구팀은 근육이 최고로 수축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 달리는 속도를 계산했습니다. 그 결과 사람은 시속 60km까지 뛸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앞으로 100m 달리기에서 5~6초대의 기록을 볼 수 있을 날이 언제일지 궁금해집니다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381개의 DNA 조각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인공 박테리아의 게놈(유전체)을 만드는
데
겨우 성공했다. 물론 먼 미래에는 과학이 발전해 이들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있다. 사람의 DNA를 외계인 DNA로 번역하는 기술이 나온다면 복제가 좀 더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com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실제로 탄소 감량에 성공한다고 해도 이를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
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저배출 가정에 포함됐던 주부 이영희 씨의 가족 역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탄소 감량에 성공했지만 최근 이사를 하면서 탄소 배출량이 다시 늘어난 경우다. 4인 가족인 ... ...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수급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동률을 높이고 대체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연구 기간이 2년 가까이 걸리는
데
다,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해 1년 안에 하나로 설계를 변경한다고 해도 다른 연구를 전면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막심한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 2500억 원을 들여 새 원자로를 짓는다고 해도 2016년 이후에야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 연구가 공격성향과 같이 복잡한 행동이 신경체계에 입력되는 경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해요.싸울 때 맞아도 남자가 참을 수 있는 이유 아이들의 싸움이 끝났어요. 선생님이 오셔서 싸우는 아이들을 떼어 놨어요. 갑자기 남자 아이들이 울기 시작해요. 여자 친구가 옆에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많은 도움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많이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데
부모와 갈등이 생기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마음속 신뢰감과 안정감이 사라지고, 그 대신 불안함과 외로움, 화남이라는 감정이 크게 작용한다. 이럴 땐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실천하기가 쉽지 않다. 이유 없이 ... ...
‘왕눈이’ 동물들의 특별한 취미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매달리는 것을 좋아한다. 엄지가 크고 튼튼한 덕분이다. 하지만 팔다리가 연필처럼 가는
데
다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고, 몸의 균형을 잡는 꼬리가 없어 나무에 오를 때 몇 번씩 쉬어야 한다.로리스들은 나무에 거꾸로 매달린 채 사랑을 나눈다. 로리스가 살고 있는 작은 공간(동물원) 안에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점수는 만점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경시대회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 모범답안을 외우는
데
급급한 학생들이 많다. 사실 경시대회처럼 이미 답이 알려진 것만을 잘 푸는 사람은 학자로 성공할 수 없다.특히 대학입시에 써먹으려고 경시대회에 출전하고 수학 공부를 하는 사람은 유학 가면 ... ...
이전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