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속"(으)로 총 2,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근접 촬영한 혜성 ‘하틀리(Hartley)2’] 눈에 보이는 푸른 바다는 거대하다. 바다의 수심이 평균 4000m에 달한다는 걸 떠올리면 바닷물의 양은 압도적이다. 표면적이 가장 넓은 태평양이 약 1억 6500만㎢ , 대서양이 약 9800만㎢, 인도양이 약 6500만㎢로 남극해와 북극해를 합하면 ...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싸이클론, 태풍, 허리케인…, 위치만 다를 뿐 대표적인 열대저기압이다.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회오리 형태의 구름 모양이 선명하다. 이런 소용돌이가 바다 위에만 있을까. 그렇지 않다. 모든 바다 속에는 크고 작은 소용돌이 ‘에디(Eddy)’가 언제나 존재한다. 에디는 크기가 반경 몇 십m에서 100km가 ...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광합성의 세계식물을 푸르게 만드는 대표적 기관은 잎이다. 초록색은 광합성에 거의 쓰이지 않는 가시광선 영역이기 때문에 잎에서 반사돼 나오고 덕분에 우리는 식물이 반사하는 푸른색을 보면서 편안함을 느낀다. 광합성이란, 말 그대로 빛을 이용해 일어나는 합성반응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 ... ...
- 구름vs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까리까리 깔까리 까리리 까릭~! 모든 것아, 헷갈려져라, 얍! 이 헷갈리나가 세상을 온통 구름과 안개로 헷갈리게 만들어 주겠어, 깔깔깔! 구름수분을 잔뜩 머금은 따뜻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서 둥실 떠 있는 것이구름이에요. 하늘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떨어져 따뜻한 수증기가 아주작은 물방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제주도에서 미국 로스엔젤레스(LA)를 잇는 해저 터널이 가능할까. 길이만 1만km를 훌쩍 넘는다. 평균 수심 4000m에 달하는 엄청난 부피의 바닷물은 어찌할 것인가.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은 항상 상상을 현실로 만들었다.태평양 해저터널은 어디에 쓸까. 비행기를 타지 않아도 미국에 갈 수 ...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과학과 수학을 좋아한다는 말을 하면 소위 ‘오덕’ 보듯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을 느껴 본적이 있나요? 반대로, 지금까지는 과학, 수학과 친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절친이 되고 싶은가요? 그렇다면 국내 최대 과학 미디어인 , , 가 공동으로 인터넷에 만든 ‘과 ...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주고받는 것 또한 엄연한 통신 기술이다. 바다속은 빠른 해수 때문에 1초 만에 10m 이상을 휩쓸려갈 수도 있어 위치 측정이 중요하면서도 어렵다. 김 교수팀은 수중 GPS의 오차수준을 40m에서 10m로 크게 향상시켰다.“‘하나’가 아니라 ‘여럿’의 위치를 ... ...
-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평균 수심 4000m, 둘레 약 4만km, 면적 321×106㎢, 부피 1322×106㎦, 최대 1억 파스칼(Pa)의 압력(1Pa=1N/㎡).지구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바다의 실체를 환산한 수치다. 인간의 바다 정복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심해 석유·천연가스 채취, 청정에너지원 활용에까지 이르렀다. 여기서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비현실 ...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해저도시요? 만들 수는 있겠지만 누가 바다 속에서 살려고 할까요? 현실성이 없습니다.”“사람은 햇빛 없이 살기 힘듭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바다 속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됩니다. 어떤 나라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들려고 할까요?”기자가 해저도시에 대해 물어봤더니 해양 과학자들 ...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바나콘 섬에 있는 맹그로브 숲의 모습. 이 섬에는 약 450ha의 맹그로브 숲이 있다.]필리핀 보홀섬에서 북쪽으로 약 3~4km 떨어진 작은 섬마을 바나콘(Banacon). 올해 1월 28일, 서울대 산림과학부와 글로벌환경경영학전공 학생 15명과 함께 열대림 보전 연구를 위해 배를 타고 섬에 도착했을 때 고사리 같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