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갗
살가죽
스킨
가죽
살
살껍질
skin
d라이브러리
"
피부
"(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같은 6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3장은 진짜 우주를 촬영한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
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했다. 장기 비행 시 몸 안팎의 미생물 구성이 바뀌면서 임무 수행에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만들어진다. 미세먼지는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해 호흡기질환을 일으키고, 심하면
피부
를 통해 혈관에 들어가 뇌졸중, 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미세먼지는 시커먼 연기로 배출돼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디젤차가 매연저감장치인 디젤입자필터(DPF)를 달고 있다.고온, 고압의 엔진 안에서는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침투한다. 성체는 몸속에서 하루에 1000마리 이상 새로운 유충을 만든다. 이런 유충들은
피부
와 눈에 치명적이다. 극심한 고통과 가려움을 동반하고 반복적으로 감염되면 시력을 잃을 수 있다. 회선사상충이 한창 기승을 부리던 1970년대에는 서아프리카 한 마을의 성인 절반이 맹인이 됐다는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성기를 꼽았다. 그는 “우리 신체에서 얼굴
피부
가 가장 얇고 그 다음으로 성기의
피부
가 얇다”고 원인을 밝혔다. 이런 엄청난 아픔을 이겨낸 대가로 그는 2015년 심리학•곤충학상 분야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이그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에서 발간하는 과학유머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에서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독소가 몸 속에서 합성된 것이 아니라 두꺼비에게서 얻은 독소임을 밝혔다. 두꺼비는
피부
에서 독소를 분비해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유혈목이는 이런 두꺼비를 잡아먹어 두꺼비의 독을 자기의 것처럼 사용한다. 독소라는 복잡한 화학물질을 만드는 데에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소모된다.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추정했다. 실제로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의 경우 여성의
피부
보다 남성의
피부
에 더 많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연구팀은 또 세균으로 반려동물을 기르는지 여부까지 알아냈다.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집에는 이들 동물의 입이나 대변에 사는 세균이 더 많았다. 예를 들어 개를 키우는 집에는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닌 연구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 시스템에 오류가 있는 사람은 자외선에 노출됐을 때
피부
암에 걸릴 위험이 높다. 산자르 교수는 현재 우리가 가장 흔하게 쓰고 있는 항암제들이 어떻게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키는지 밝혀내, 더 나은 방법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임상 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다.이번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모델화할 수 있다.
피부
질환을 개선하는 약물을 개발할 때도 마찬가지다. 사람의
피부
세포와 미세혈관을 그대로 재현한 칩에 약물을 투여하면 어느 때보다 약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폐로 흡입하는 약물의 경우, 이것이 폐의 움직임에 따라 어떻게 이동하는지 관찰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수밖에 없지요. 우리 두개골은 늑대보다 평균 20%, 그리고 뇌는 30% 정도 더 작아요. 한편
피부
는 늑대보다 우리가 더 두껍죠.요즘 사람은 널 자식처럼 생각하기도 하던데…. 그게 과학적으로도 맞는 말이라며?맞아요. 엄마와 아기가 서로 눈을 쳐다보면 혈액 내에 사랑의 호르몬으로 알려진 ... ...
다람쥐 VS 청설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미끄러지듯 날아다니는 커다란 다람쥐예요. 몸길이가 무려 40~45cm나 되지요. 몸 옆구리에
피부
가 자라서 생긴 ‘익막’이라고 부르는 막을 갖고 있어요. 나무 사이를 날아다닐 때면 익막을 활짝 펴서 글라이더처럼 공기 중을 미끄러지듯 날지요.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날다람쥐를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