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갗
살가죽
스킨
가죽
살
살껍질
skin
d라이브러리
"
피부
"(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빛이
피부
에 반사되면서 반사광 ‘메아리’를 만들어냅니다. 이걸 분석하면
피부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겠죠. 두고 보세요. X선 한 가지 빛만 이용하는 컴퓨터단층촬영(CT)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할 기술입니다. 그밖에도 빛 기술은 다양합니다. 여러분들이 손에 쥐고 있는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된다’는 광고 문구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EGF가 실제로 얼마나 들어갔는지, 이것이
피부
노화 완화에 정말 도움이 되는지는 화장품 회사의 양심이다. 이를 믿고 안 믿고는 결국 돈을 지불하는 소비자의 몫이다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
가 더 가려운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심해지는 이유를 소개한다. ▶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자극 경로를 소개한다. ▶
피부
가려움증이 통증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설명한다. ▶ 가려움증은 왜 자꾸 자꾸 긁게 되는지 원인을 설명한다. ▶ 도입에서 풀었던 가려움증 진실 혹은 거짓 문제의 답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가려움증에 대한 ... ...
카멜레온
피부
색 변화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된다는 걸 알아낸 거예요.연구팀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또 다른
피부
층도 발견했어요. 이
피부
층은 더운 지방의 뜨거운 열로부터 카멜레온의 몸을 보호하는 방패 역할을 한다고 해요. 연구팀은 앞으로 홍색소포층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무늬 변화가 일어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여정에서 만난 하늘의 이야기를 해보겠다.김병수_kimbssss@hot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
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김지현_voyages@hanmail.net과학동아 별학교장. 우주과학작가로 활동하며 ‘별헤는 밤 천문우주실험실’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2월 24일에 이를 발전시킨 논문 한 편을 더 투고했다. 그러나 동부전선에서 얻은 희귀한
피부
병 때문에 그해 5월 11일 결국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중력장 방정식을 풀기 어려운 까닭엄밀한 풀이는 특히 이론물리학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중력장 방정식을 비롯해 물리학에서 다루는 방정식은 여러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척추뼈와 갈비뼈, 그리고 쇄골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융합된 뼈 위로
피부
가 변형된 각질의 판이 붙어 있다. 우리와 같은 포유류가 가지고 있는 등이나 배의 근육들은 모두 퇴화했다.장수거북은 단단한 갑옷만이 아니라 정교한 밀폐 구조를 갖고 있다. 더구나 수중에서는 몹시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 그림을 그린 사람은 이탈리아의 미술가 ‘귀도 다니엘’이에요. 다니엘 작가는
피부
가 손상되지 않도록 분장용 물감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고 있어요. 날카로운 부리를 가진 독수리와 얼룩말을 보세요! 금방이라도 손끝에서 동물이 튀어나올 것 같아요.그렇다면 누구의 손에 그림을 그리는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일이다. 사람은 자신 의 정체성을 몸과 연결 지어 생각한다. 나는 뚱뚱한 사람이야,
피부
가 까매, 키가 작아…. 이런 정체성이 가상현실에선 의미가 없어진다. 커즈와일은 “타인이 되는 경험에서 해방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사 람은 누구나 자기 속에 다양한 면들을 갖고 있지만 억 누르며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준이다. 두께도 머리카락 두께의 40분의 1 수준으로 매우 얇아 자유롭게 휘어진다. 향후
피부
에 붙여 사용하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14일자에 실렸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