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폐경기 뚱뚱한 이유 한미 공동연구팀 밝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이에 따라 폐경기 여성을 위한 비만 치료제가 조만간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과학
기술
부 산하 생체기능조절 물질개발사업단은 4월 19일 미국 조지타운대 의대 다렌 로슈 박사팀과 공동으로 폐경기 여성의 비만 원인을 규명해냈다고 발표했다. 로슈 박사팀은 이 연구결과를 같은 날 ... ...
건강한 혈관생성 단백질 세계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돼 심장병과 뇌중풍 치료에 획기적인 길이 열렸다.한국과학
기술
원(KAIST) 고규영 교수는 4월 13일 세계 최초로 ‘COMP-Ang1’ 이라는 혈관생성 및 혈관 내피세포 보호 단백질을 조정현 박사와 함께 만들었다고 밝혔다.이 단백질은 기존 혈관생성물질과 달리 건강하고 염증 없는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고밀도 DNA칩이 활용됐다. 마크로젠의 박현석 사장은 “이는 한국의 유전자 분석
기술
이 이미 세계 수준에 도달했다는 증거” 라며 “국내에서도 DNA칩을 이용한 유전자 연구가 활성화될 것” 이라고 기대했다.줄기세포 연구에 이용 가능성 그러나 엄밀히 말해 정자 역할을 대신한 미성숙 난자는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조화를 이룬 최적의 설계안을 끌어냈다. 또 지어질 건물 모델과 에너지 절약
기술
을 토대로 에너지 자립도도 예측해냈다. 지금까지 서로 알력관계에 있던 건축가와 에너지 전문가가 조화를 이뤄 만든 합작품인 셈이다. 이는 21세기 건축이 지향해야 할 큰 방향이다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상업포경 중단조치 전까지 전세계적으로 1만4천마리 이상의 밍크고래가 잡혔다.유전자
기술
이용한 고래 보존 노력 최근 고래 개체수가 늘어난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포경이 금지된뒤 번식을 통해 자연스레 개체수가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대형고래는 10살 전후로 번식능력을 갖으며 2-3년에 ... ...
사무엘 모스, 유선 통신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1844년 5월 24일 미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사무엘 모스(Samuel F.B. Morse)는 전신기의 종이테이프를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었다. 조금 전 자신이 보낸 메 ... 보내진 신호가 종이 테이프에 기록된다는 장점 때문이었다.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전문
기술
자와의 경쟁에서 승리를 거두게 했던 것이다 ... ...
독심술 기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미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이 얼굴 부위에 붙이는 작은 센서로 사람의 생각을 읽는 신
기술
을 개발했다고 보도했다.연구팀은 혀와 목구멍, 목소리에서 신경신호를 잡아내기 위해 사람의 뺨과 인후 부분에 단추 크기의 센서를 달았다. 그리고 ‘go’, ‘left’, ‘right’ 를 포함한 기본단어 6개와 숫자 ... ...
사람눈 모방한 액체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연구진들이 지름이 3mm인 초소형 액체렌즈를 만들어 3월 셋째주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CeBIT
기술
무역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였다. ‘플루이드포커스(FluidFocus) 렌즈’로 이름붙여진 이 렌즈는 물방울 곡면의 변화에 따라 초점거리가 달라져 사람의 수정체처럼 먼곳과 가까운 곳을 자유자재로 볼 수 있다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소행성들의 이름을 과학
기술
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설립한 ‘과학
기술
인 명예의 전당’에 올라간 과학자 14명 가운데 출생연도순으로 헌정했다”고 말했다.한국천문연구원은 향후 발견할 소행성에 대해서도 한국과학자의 이름을 헌정할 계획이다 ... ...
제12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과 펠리컨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심사위원장인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이명균 교수(천문학 전공)는 “사진 촬영
기술
이 다양해지고 이미지 처리과정이 가미되고 있으며 참가 작품들이 질적으로 향상돼 심사에 어려움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수상작에서 아깝게 탈락한 작품들을 입선작으로 뽑았다. 모든 당선작은 ... ...
이전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다음
공지사항